'상류'라고 부를 수 있으려면, 그 사람의 태도와 행동이 '상류적 가치'와 맞닿아 있어야 한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상류'에게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자신의 재산과 지위에 걸맞게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는 모습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1부 누가 상류인가? 01 불편한 이야기들 탐욕의 1퍼센트와 반사회적 인격장애 승자와 상류를 혼동하지 말라 워너비 문화 한국 사회의 속물화 LA 교민 문화와 미국 유학파 02 너희가 상류를 믿느냐 무심한 사람들 교황이면 상류일까? 상류 인간의 표본 03 계급 이야기 돈이 이겼다? 타락한 귀족 성공한 야만인 쓸모 있는 바보들, 중산층
2부 책임을 다한다는 말 04 윗물이 맑은 나라 미국의 상류 정신 가장 위대한 세대 레이건은 상류가 아니었다 외롭지 않은 진보 철학이 있는 자본 정말 정승같이 쓰는 부자들 05 상류의 특질 가격이 아니라 가치다 올드머니와 와스프 어느 ‘명문 고등학교’와 능력주의의 촌스러움 프리우스, 신분의 상징 ‘갑질’은 아주 점잖게 06 정신적 지주 건국의 힘, 농장으로 돌아간 대통령 대통령의 약자 편향 상류들의 의식 수준 생각의 크기 07 사회의 기둥 사악하지 말라 신뢰받는 언론 이 땅의 가장 높은 법원 대학 랭킹과 교육의 본질 08 신뢰와 존중 너무도 끊기 쉬운 신문 상류의 화법 대통령의 시간
3부 다르게 사는 방법 09 내면의 계급 신데렐라에 대한 고찰 고결함을 지향하는 사회 내면의 귀족, X 부류 10 미국을 넘어 ‘좋은 나라’의 기준 복지 성공 사례: 스웨덴 공평하고 긍정적인 배움: 핀란드 예술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고민: 독일 ‘훈훈한 분위기’는 정부로부터 나온다: 덴마크
상류 용어 사전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조선족, 그들은 누구인가 : 중국 정착 과정에서의 슬픈 역사 2023 / 지음: 곽승지 / 인간사랑
프롤레타리아의 밤 : 노동자의 꿈 아카이브 2021 / 지음: 자크 랑시에르 ; 옮김: 안준범 / 문학동네
차별은 원숭이도 화나게 한다 : 차별 없는 세상을 꿈꾸는 청소년을 위한 인문학2019 / 지음: 복대원, 선보라 / 바다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