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비체들과의 만남
1장 여성혐오 다시 쓰기: 비체들이 온다
여성혐오 담론을 다시 봐야 하는 이유
여성거래의 정치경제학
남성연대를 위한 여성의 타자화
여성혐오 구조 담론이 처한 곤경
여성혐오 다시 쓰기
대상(object)에서 비체(abject)로
여성혐오를 벗어나는 비체 되기의 전략들
비체들이 온다
2장 도시화와 여성 비체의 등장
우리는 도시화의 시대를 살고 있다
도시적 삶과 변화하는 감정 구조
소비를 통한 감정의 해소
타자성의 조우와 감정의 격돌
소셜미디어와 가상 공동체
여초 카페와 여성 비체의 등장
여성 비체들의 정치화
감정적 반발과 혐오의 민낯
많이 불편하신가요?
새롭게 등장한 여성 비체는 페미니스트인가?
3장 여성혐오와 왜곡된 인정욕망
왜 분배투쟁이 아닌 여성혐오인가?
여성혐오와 인정의 수사학
강한 무시감은 강한 인정욕망의 표현
도시 노동의 핵심, 성취 원리에 따르는 삶
성취인정을 둘러싼 개인의 투쟁
신자유주의 시대의 무한 경쟁, 자아소비와 여성혐오
인정의 이데올로기화
당신은 이데올로기적 인정을 하고 있지 않은가?
액체화의 위기를 고체화로 달래다
인정 규범의 재구성
너에게서 나로
4장 비체를 위한 윤리: 공감
지배적 젠더 체계의 유령 불러오기
정신분석과 비체 되기의 가능성
도시화와 비체 되기의 가능성
비체들 간의 소통은 가능한가?
완전한 자아 이상에 기반한 수치심
타자에 대한 연민으로서의 동정심
자아와 타자의 동일성에 기반한 동감
공감이란 무엇인가?
비체에게 공감해야 하는 이유
비체들의 소란스러운 연대
도시화의 과정에서 비체들의 연대는 가능한가?
공감하라 그리고 소란스럽게 연대하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