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법과 사회
제1절 인간과 사회
제2절 사회와 규범
제3절 법과 현실
제4절 죄와 벌
제5절 법지식
제2장 법의 본질
제1절 법의 개념
제2절 법의 내용
제3절 법의 존재와 가치
제3장 법의 체계
제1절 법의 연원
제2절 성문법
제3절 불문법
제4절 법의 분류
제4장 법의 이념
제1절 법 이념의 뜻
제2절 자유와 평등
제3절 정의
제4절 법적 안정성과 합목적성
제5절 법이념과 공공복리
제6절 법이념과 평화
제5장 법과 사회규범
제1절 사회규범의 공존
제2절 법과 정치
제3절 법과 경제
제4절 법과 언론
제5절 법과 도덕
제6절 법과 윤리
제7절 법과 종교
제8절 법과 양심
제9절 법과 예
제6장 법학과 법률가
제1절 법학
제2절 법률가
제7장 법의 발전과 계통
제1절 법의 종류
제2절 법의 변천
제3절 대륙법
제4절 영미법
제5절 사회주의법
제6절 이슬람법
제7절 중국법
제8절 우리나라의 고유법
제9절 현대의 법문화권
제8장 법과 언어
제1절 법 언어와 법 규범
제2절 법 격언
제3절 법문의 약어
제4절 법과 문학
제9장 법의 효력
제1절 법의 정당성과 실효성
제2절 법효력의 근거
제3절 법의 효력범위
제4절 법효력의 한계
제10장 법의 해석과 적용
제1절 법의 해석
제2절 법해석의 방법
제3절 법의 적용
제11장 법과 인간
제1절 자연인
제2절 법적 인격체
제3절 인권
제12장 법과 권리ㆍ의무
제1절 권리
제2절 의무
제3절 권리ㆍ의무의 주체와 객체
제4절 권리의 행사와 제한
제13장 법의 작용
제1절 법률행위
제2절 의사표시
제3절 계약행위
제14장 법과 복지주의
제1절 복지국가주의
제2절 사회법의 등장과 발달
제3절 노동법
제4절 경제접
제5절 사회보장법
제6절 사회복지법
제15장 법의 지배
제1절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
제2절 법치주의와 권력분립
제3절 절차법적 법치주의
제4절 자율과 규제
제5절 법의식과 준법정신
제6절 양성평등주의
제16장 법과 성 범죄
제1절 성 범죄와 성의 문화
제2절 법과 음란성
제3절 성 범죄와 형벌
제4절 낙태죄와 영아살해죄
제17장 법과 사이버공간
제1절 사이버공간의 발달
제2절 사이버공간의 자유와 규제
제3절 SNS를 이용한 대중적 민주주의
제4절 사이버 범죄의 유형과 권리구제
제5절 전자거래와 이용자 보호
제18장 법철학 서설
제1절 법철학의 개념
제2절 법철학의 발전
제3절 자연법론과 법실증주의
제19장 법과 재판
제1절 재판과 사법권의 독립
제2절 법관의 책임
제3절 소송의 주체
제4절 소송의 분류
제5절 대체적 분쟁해결 방식
제6절 국민참여재판 제도
제20장 법의 제재
제1절 법적 제재
제2절 헌법상 제재
제3절 행정법상 제재
제4절 형법상 제재
제5절 민법상 제재
제6절 노동법상 제재
제7절 국제법상 제재
제21장 법과 재산권
제1절 재산권의 개념
제2절 민법상의 재산권
제3절 상법상의 재산권
제4절 행정법상의 재산권
제5절 형법상의 재산권
제22장 법과 권리구제
제1절 권리구제
제2절 권리의 경합과 상호저촉
제3절 헌법상 권리구제
제4절 행정법상 권리구제
제5절 형법상 권리구제
제6절 민법상 권리구제
제7절 노동법상 권리구제
제8절 소비자 피해에 대한 권리구제
제9절 환경권 침해에 관한 권리구제
제10절 국가인권위원회ㆍ국민권익위원회
제23장 법과 국가
제1절 처음에
제2절 국가의 개념
제3절 국가의 형태
제4절 권력분립과 의회주의
제5절 국회의 헌법상 지위
제6절 정부의 형태
제7절 선거제도
제8절 지방자치
제9절 공무원제도
제24장 법과 가족
제1절 처음에
제2절 친족관계
제3절 가족관계
제4절 부부관계
제5절 부모와 자의 관계
제6절 상속관계
부록
1. 우리나라 헌법개정사
2. 법원조직표
3. 공무원 직위ㆍ직급 비교표
4. 국회운영 정족수
5. 대한민국헌법
사항색인
인명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