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속화 '저기'와 '여기' : 무종교인의 관점
발행연도 - 2016 / 지은이: 이상하 / 한국문화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81035
-
ISBN
9788968174247
-
형태
782 p. 26 cm
-
한국십진분류
종교
>
-
카테고리분류
종교
>
종교학
>
종교학이론
책소개
사회가 세속화된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저기’와 ‘여기’의 차이를 분명히 한다. 서양의 오랜 세속화 과정에 대응하는 것이 이 땅에도 있었다는 가정 아래 가상의 역사를 구성해 보고, ‘저기’와 ‘여기’의 비교에서 피해야 할 독단적 지성사를 제시하고 해체시킨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심화된 논의들을 위한 윤곽그리기: 세속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1. 18세기 무신론 논쟁: 논의의 시작
1.1. 유물론 논쟁
1.2. 종교 대 종교
1.3 현실
2. 미신, 무신, 무관심: 논쟁의 분류
2.1. 청교도를 둘러싼 갈등
2.2. 의무적인 종교교육을 둘러싼 시각의 차이
2.3. 무신론의 고대적 의미
2.4. 무종교인을 대변한다는 것
2.5. 기독교적 세계 이해 방식
3. 구조적으로 분화된 사회에 대한 폭력: 종교선택의 자유라는 것
3.1. 기독교 전통과 자유주의
3.2. 피어슨의 사례
3.3. 도덕의 종교 기원론이 가진 유치함
3.4. 정치 신학에 담긴 도덕의 종교 기원론
3.5. 역사 서술 방법론
3.6. 세속화 과정의 실제 성격
3.7. 구조적으로 분화된 사회에 대한 폭력
3.8. 세속화된 사회의 약점
4. 백색 도덕 제국주의의 토착화: 선교 활동
4.1. ‘유럽’이라는 이념
4.2. 백색 도덕 제국주의 탄생
4.3. 백색 도덕 제국주의의 토착화
4.4. 백색 도덕 제국주의가 이 땅에서 토착화된 원인
4.5. 야망과 문명의 이분법
4.6. 계몽주의 다시 보기
제2부 심화된 논의: 세속화와 과학
5. 자연의 역사: 두 우주론
5.1. 창조신화와 자연
5.2. 6일
5.3. 성서 대 자연, 그리고 매개 개념
5.5. 자연의 역사와 우주론
6. 존재 사슬의 논리적 구조와 해석: 신 개념의 다양성
6.1. 수직선
6.2. 정점의 의미
6.3. 점들의 간격과 위치
7. 이념전쟁: 독단 대 독단
7.1. 지적 설계자 가설에 관한 독단
7.2. 자연 선택 가설을 둘러싼 독단
7.3. 자연 신학, 창조 과학의 맹점
7.4. 무종교인이 알아야 하는 것
제3부 심화된 논의: 세속화 ‘저기’와 ‘여기’
8. 세속화 과정과 세속화된 사회 상태: 종교시장 논리의 허구
8.1. 현대적인 것
8.2. 고전적 이원론의 붕괴 과정
8.3. 종교 시장과 세속화
8.4. 재구성을 통한 변형 과정과 세속화
8.5. 기독교와 세속화
9. ‘저기’와 ‘여기’: 중심과 주변의 구분 맥락과 유교의 변동 가능성
9.1. ‘저기’
9.2. ‘저기’와 ‘여기’를 비교하기 위한 논의의 토대
9.3. 프랑스혁명을 통해 본 ‘저기’의 실 꼬임
9.4. 강한 내용적 결합성과 약한 내용적 결합성
10. ‘저기’와 ‘여기’: 가상의 역사를 논하기 위한 윤곽
10.1 가상의 역사를 구성하기 위한 초기 조건
10.2 ‘양반’이라는 신분계급
10.3. 소중화 사상
10.4. 인간중심 사상
10.5. ‘자유’를 다루기 위한 논의의 윤곽
10.6. 세속화 과정과 서양의 자유 개념
11. ‘저기’와 ‘여기’: 사회 설계 참여의 자유
11.1. 사회 설계 참여의 자유에 대한 씨앗 개념의 차이
11.2. 사회 설계 참여의 자유에 대한 이 땅의 씨앗 개념 찾기
11.3. 현실 수긍 여부에 따른 자발적 의사 결정의 구조와 분류 방식
제4부 심화된 논의: 가상의 역사와 현실
12. 가상의 역사: 그것의 진행방식
12.1. 유교의 변통 가능성에 근거한 세속화 과정의 단계들
12.2. 가상의 측면
12.3. 누구나 관계의중심이 될 수 있는 것
12.4. 급진주의가 통념이 되어버리는 가상의 시대적 배경
12.5. 새로운 사회구조와 정치체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12.6. 사회 영역과 계층의 관계를 통해 본 새로운 정치론의 핵심
13.가상의 역사: 가상의 정치적 실험들
13.1. 정치가 계층의 기득권과 가능성
13.2. 이 땅의 역사 속에서 엿볼 수 있는 ‘정치가들이 없는 정치’의 이상
13.3. 정치가들이 없는 정치체제
14. 근대화와 세속화: 근대화의 생성적 측면
14.1. 산업화 그리고 고전적 사회학 전통의 역사 읽기 방식 비판
14.2. 계층 분화에 따른 권력 이동
14.3. 인종주의의 쇠퇴와 근대화에 대한 재평가
15. 무종교인의 딜레마: 확산 계층의 문제와 민주주의의 진화
15.1. 사회적 딜레마로서의 무종교인의 딜레마
15.2. 민주주의의 진화 가능성
15.3. 확산 계층의 문제와 무종교인의 딜레마
15.4. 문제를 공유하는 사회
제5부 무종교인을 위한 역사 독법: 세속화 담론의 성격과 독단적 지성사의 해체
16. 담론의 생성: 사회 역사적 과정들의 비동질성과 세속화 담론의 성격
16.1. 사회 역사적 과정들의 비동질성
16.2. 세속화 담론의 성격
17. 세계 이해 방식들의 세계: 잠정적 구상
17.1. ‘세계 이해 방식들의 세계’를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는 것
17.2. ‘세계 이해 방식들의 세계’를 둘러싼 착각들
17.3. 세계 이해 방식들의 상호작용
18. 무종교인을 위한 역사 독법: 독단적 지성사의 제거
18.1. 단절 논리를 강화시키는 첫 번째 종류의 독단적 지성사
18.2. 축의 시대 개념을 통해 본 두 번째 종류의 독단적 지성사
18.3. 특정 지역의 역사를 보편화시켜 버리는 세 번째 종류의 독단적 지성사
18.4 중단과 이행
부록
<부록1>. ‘코스모스’의 파괴자들
<부록2>. 원자론과 서영 물질 개념의 기원
<부록3>.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의 차이
<부록4>. 랑케
<부록5>. 이래즈머스 다윈과 홍대용
<부록6>. 구체적이면서 보편적인 것의 존재 가능성 문제
<부록7>. 본질주의적 인종 개념의 탄생
<부록8>. 린네우스의 박사학위
<부록9>. 힌두교
<부록10>. 공감
<부록11>.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개념
<부록12>. 뉴턴의 버킷실험 – 절대 공간 대 상대 공간 -
<부록13>. 관성계에 대한 뉴턴의 정의 방식과 중의성
<부록14>. 중국 우화에 대한 보일의 편견
<부록15>. 임시방편적 가설
<부록16>. 신을 방패막이로 한 17세기 동물실험
<부록17>. 진화의 종합설
<부록18>. 임페투스
<부록19>. 신플라톤주의
<부록20>. 플로지스톤의 진정한 의미
<부록21>. 아우구스티누스의 구원 개념
<부록22>. 복지 지향 자유주의
<부록23>. 소외
<부록24>. 행위 반경 – 이기주의와 이타주의의 구분 -
<부록25>. 아나키즘
<부록26>. 프란시스 베이컨의 운동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1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