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놀이에 관심을 갖게 된 어느 NGO 직원이 버려지고 방치된 서울시 놀이터 두 곳을 개선해 아이들에게 돌려주기까지의 여정을 한 편의 다큐멘터리처럼 정리한 책이다. 저자는 놀이터를 고치고 다듬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공동체성을 회복해가는 과정을 과장이나 왜곡 없이 소개하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_ 나를 키운 건 8할이 놀이터였다
1 놀이에 주목하다 우리 뭐 하고 놀아요? 놀이를 공부해보자 소현, 도현이 남매와의 만남 놀이터의 비밀 이런 부모 또 없을까? 요즘 애들이 놀이터에서 노나요? 하늘 놀이터에서 배운 것
2 놀이터를 생각하다 우리랑 같이 하실래요? 한 가지만 하세요! 서울시와 함께하다 놀이터가 왜 여기 있나요? 세화 놀이터와의 만남 이건 내 놀이터예요 최고의 디자이너를 찾아라
3 놀이터를 연구하다 아이들은 뛴다, 고로 존재한다 크게! 높게! 넓게! 무섭게! 피시방보다 놀이터가 재미있어요 좋은 놀이터와 나쁜 놀이터 서울숲 체험기 낙서, 놀이가 되다 내 놀이터를 만들어줘서 고마워요
4 놀이터를 개선하다 동네 일에 관심 있으세요? 까다로운 이웃들과 함께 모래 바닥 vs 고무 바닥 놀이터를 다시 열던 날
5 공동체를 살리다 새로운 놀이터에서 노는 법 앞집 할머니가 달라졌어요 개장식 대신 놀이터 축제 마을 공동체의 힘을 느끼다 놀이터 백일잔치를 중계합니다
6장 586일의 여정, 그 후를 고민하다 모험이 허락되지 않는 시대 놀이터를 지키는 소녀시대 좋은 놀이터는 어떤 놀이터인가 작지만 큰 변화 놀이터 지키기, 이제부터 시작이다
에필로그_ 평범한 아이들의 행복을 지켜야 한다
서가브라우징
깊은 마음의 생태학 = (An)Ecology of deep mind :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2014 / 지음: 김우창 / 김영사
지금 우리는 자연으로 간다 : 자연 결핍 장애를 극복하고 삶을 회복시키기 위하여2016 / 지음: 리처드 루브 ; 옮김: 류한원 / 목수책방
모두를 위한 마을은 없다 : 마을 만들기 사업에 던지는 질문2014 / 권단 ...[등]지음 / 삶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