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다르다 보니 갈등이 싹트고 이러한 갈등은 때로 폭력으로 둔갑하기도 한다. 이 책은 평화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다양성이 갈등이 아니라 조화로 나아가도록 하는 탄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목차
기획의 말
들어가는 말 1. 평화문맹의 시대 2. 평화인식론과 평화다원주의 3. 평화인문학을 위하여
Ⅰ 평화 개념의 해체와 재구성 제1장 평화라는 말의 심층 1. 개념의 바닥까지 내려가라 2. 평화 규정에 평화는 없다 3. 정의로 평화를 설명할 수 있을까 4. 주어는 술어에 종속된다 5. 평화는 술어다 6. 주어와 술어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제2장 평화와 평화들, 인식의 다양성과 평화다원주의 1. 평화는 복수다 2. 평화다원주의 3. 자기중심적 평화주의 4. 평화들 사이의 문 5. 평화를 위한 덜 폭력적 수단 제3장 평화는 폭력을 줄이는 과정 1. 사회적 비도덕성의 이유 2. 폭력으로 폭력을 줄이기 3. 평화는 폭력을 줄이는 과정 4. 폭력을 줄이는 동력, 공감 5. 활사개공의 평화 6. 공존과 비빔밥 평화 7. 참여적 객관화
Ⅱ 인간적인 평화와 평화인문학의 길 제1장 동서양의 평화론 1. 평화의 개념화 과정 2. 정의의 구현과 대동사회 제2장 인간다움을 위한 학문 1. 휴머니티스, 서양의 지성적 인문주의 2. 人文學, 동양의 도덕적 인문주의 3. 아프리카적 인간성, ‘우분투’ 제3장 인문학의 저자와 독자 1. 전문가주의의 위험성 2. 쉽고 깊은 글쓰기 3. 삶에 대한 비평 4. 평화인문학의 복합성 제4장 평화인문학의 실천적 과제 1. 상처의 원인에 대한 해명 2. 아픔에 대한 공감력의 심화 3. 비판적 성찰과 공감적 실천 4. 폭력 축소를 위한 윤리적 개입 5. 증오의 치유와 학문의 구도성 6. 다원적 평화공동체의 구상 제5장 녹색평화와 목적론적 평화인문학 1. 목적론적 평화인문학 2. 녹색으로서의 평화인문학 3. 한반도발 평화인문학
우리, 평화를 말해요: 노벨 평화상 수상자가 들려주는 평화의 메시지2020 / 글: 앨리 윈터; 그림: 미카엘 엘 파티; 옮김: 박원영 / 찰리북
전환시대의 논리 : 리영희 평론집2018 / 리영희 지음 / 창비
G2 시대 중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한중관계의 오늘과 내일2014 /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지음 / 서해문집
중국의 선택 : [이북 E-book] (The) Choice of China : peaceful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a harmonious world : 평화발전과 조화세계의 건설 2014 / 지음: 리징즈, 푸핑 ; 옮김: 김도훈 / 경혜
바이마르의 세기 : 독일 망명자들과 냉전의 이데올로기적 토대 2018 / 지음: 우디 그린버그 ;, 옮김: 이재욱 / 회화나무,
빙하는 움직인다 : 비핵화와 통일외교의 현장2016 / 지음: 송민순 / 창비
워싱턴에서는 한국이 보이지 않는다 : 21세기 새로운 국가 대전략2016 / 최중경 지음 / 한국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