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타르바가 지구별 사람들에게 들려주고자 했던 것은
1부 태초의 시간만이 알고 있는 이야기
1장 만물의 형제였던 최초의 세상 속으로
인간 탄생 ‘매뉴얼’을 보니
알에서 함께 깨어난 것들
산들이 낳은 인간-쿤룬 산맥과 옥룡설산 이야기
2장 비의 신이 대홍수에 흘려보내려던 것은
우레신을 위한 변론
속임수에 징벌을 내리다
[함께 읽는 신화] 세상에 속임수가 가득해진 이유
3장 인간은 왜 불멸의 삶을 버렸나
돌로 만든 인간들이 영원히 살아가는 세상
죽지 못하는 고통에 울다
신화, 균형을 말하다
서울 골목길에 나타난 〈원령공주〉의 멧돼지
실험실의 청개구리가 되기 싫다면
4장 신화, 인간의 조건을 말하다
첫 번째 조건, 선량함
두 번째 조건, 지혜
세 번째 조건, 나눔
네 번째 조건, 성실함
세상에서 가장 어둡고도 밝은 것은 무엇일까
[함께 읽는 신화] 왜 홍수 신화에서 조롱박이 인간을 구할까
2부 신의 후예들이 사는 법
5장 곡식을 위해 노래를 부르다
숨어버린 곡식을 찾아낸 뱀과 거머리
곡식에게도 영혼이 있으니
신과 함께 농사를 짓는 사람들
사탕수수를 위해 나무를 베다
작물의 다양성과 문화적 다양성
[함께 읽는 신화] 인간은 반드시 새와 쥐에게 곡식을 주어야 하니
6장 숲과 인간이 동시에 길을 잃으면
북대황의 눈물
벵골보리수, 한 그루가 숲을 이루는 나무
여아삼, 딸아이를 위한 삼나무
숲이 있어야 물이 흐른다
‘인간화된 숲’은 영혼의 뿌리이니
[함께 읽는 신화] 나뭇잎으로 사랑을 전했던 사람들
7장 나무의 신화, 〈아바타〉의 서사로 되살아나다
〈아바타〉에 담긴 숲의 생태학
태반에서 과일나무가 자라다
나무에서 태어난 아이들
그들이 나무를 섬길 수밖에 없는 이유
8장 꽃이 웃으면 아이가 웃는다
불사의 여신 서왕모에게 약초를 바치는 까닭은
꽃의 신화, 투기로 얼룩지다
낙양의 모란도 그렇게 졌으니
꿀벌이 죽어가는 시대, 꽃들도 영혼을 잃는다
9장 돌도 옮기면 사흘을 아파한다
벼랑 끝에 서 있는 몽골
초원을 어머니의 ‘몸’으로 생각한 사람들
땅 위의 것이라면 함부로 움직이지 말라
넌강의 초원이 된 청년을 위하여
[함께 읽는 신화] 신화 속 하얀 돌과 붉은 돌
10장 개구리를 먹어치운 인간이 갈 곳은
개구리, 우레신의 딸
인간의 이성, 개구리 껍질을 태워버리다
고기를 얻기 위한 ‘기술’보다 탐욕을 내려놓는 ‘가치’를
11장 탐욕, 용의 비늘을 건드리다
이데올로기에 가려진 용의 신화
용, 마을 앞산에 살고 있는 조상님
용의 진짜 얼굴을 마주하다
티베트의 ‘루’와 나시족의 ‘수’, 금기의 생태학
12장 늑대에게 사라질 자유를
초원의 모든 늑대는 싸우다 죽는다
늑대, 유목 민족의 어머니
늑대가 사라지자 알게 된 것들
그들의 마지막 춤을 위하여
3부 오래된 이야기에서 찾은 내일의 답
13장 황하의 물이 맑아지는 날이 온다는 것은
황하를 다스리는 일, 제왕의 꿈
싼먼샤 댐, 환호성이 비탄의 눈물로 변하다
싼먼샤의 기억을 뒤로하고 싼샤 댐을 만들다
곤의 치수, 막는 방법으로 실패하다
우의 치수, 트는 방법으로 성공하다
우리의 강이 다시 흐르려면
14장 태초의 리더들에게서 배우다
영웅 서사시가 보여주는 영웅의 전형
생명을 ‘살리기’ 위해 활을 쏘는 영웅들
망예와 멍여우, 두려움 앞에 서다
다시 나타날 영웅을 위하여
15장 파라다이스를 꿈꾸고 있다면
황제의 곤륜산, 신화 속의 파라다이스
테드 터너의 들소 목장, 신자유주의의 파라다이스
알라무트 요새의 환각에 빠진 청춘들
닫힌 낙원은 낙원이 아니다
신과 인간이 만나는 그곳
일상을 파라다이스라고 부르는 사람들
16장 인간만이 말을 한다는 착각을 버려야
바이족 아이들, 자연에서 답을 찾다
“애니미즘 문화는 확실히 옳았어요”
‘외로움’이라는 단어가 없는 사람들의 세상
사람의 눈이 큰 이유는 무엇일까
17장 뒤를 돌아보면 답이 있다
“제가 흘린 피 위에 나뭇잎을 덮어주세요”
자연이 불멸의 존재인 이유는
홍수 이후의 세상을 살아갈 방법
오만해진 사냥꾼의 총을 거두며
부록
이 책에 나오는 여러 민족들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