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헬조선'이라는 담론이 유행이다. 저자는 '왜 대한민국이 헬조선으로 인식되는가'에 대한 문제 제기로 시작해, 물음들을 하나하나 검토한 뒤 예상과는 전혀 다른 답을 내놓는다. 대한민국이 헬조선으로 인식되는 이유는 산업화와 민주화에 모두 성공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목차
머리말
1. 헬조선, “이 세계관은 낡았다.” 2. 대한민국은 헬조선인가? 3. ‘대한민국은 헬조선’이라는 말은 악의적인 부정적 인식이 아닐까? 4. 왜 대한민국은 헬조선으로 인식되는가? 5. 자격‘부여/박탈’ 담론의 정치학 6. 프랑스의 1968년 5월 - “이해할 수가 없다!” 7. “더 이상은 용납할 수가 없다!” 8. 신주쿠역 10번 출구 ‘조선인 혐오’ 살인사건 9. 합리성과 담론효과 10. 합리성, 평등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 11. 이해, 타인의 목소리를 듣는다는 것 12. 임계점, 합리성의 기준이 변화하는 점 13. 희망의 근거 -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
서가브라우징
역경의 행운2015 / 지은이: 최재석 / 만권당
복학왕의 사회학 : 지방 청년들의 우짖는 소리2018 / 지은이: 최종렬 / 오월의봄
낯선 사람에게 말을 걸면 2022 / 지음: 조 코헤인 ; 옮김: 김영선 / 어크로스
서사의 위기 2023 / 지음: 한병철 ; 옮김: 최지수 / 다산초당:
서사의 위기 2023 / 지음: 한병철 ; 옮김: 최지수 / 다산초당:
사실, 바쁘게 산다고 ○○○ 해결되진 않아2018 / 지음: 한중섭 / 책들의정원
사실, 바쁘게 산다고 ○○○ 해결되진 않아2018 / 지음: 한중섭 / 책들의정원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 통치자 담론에서 피통치자 담론으로2016 / 지은이: 허경 / 길밖의길
대한민국을 바꾸는 61가지 방법 : graphic messages2009 / 홍동식 지음 / 디자인하우스
결: 거침에 대하여: 홍세화 사회비평에세이2020 / 지음: 홍세화 / 한겨레
결: 거침에 대하여: 홍세화 사회비평에세이2020 / 지음: 홍세화 / 한겨레
새로운 세상의 문 앞에서 : 홍세화와 이송희일의 대화 2022 / 대담: 홍세화, 이송희일 / 삼인
새로운 세상의 문 앞에서 : 홍세화와 이송희일의 대화 2022 / 대담: 홍세화, 이송희일 / 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