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1.1. 현장 시간과 방언 구획
1.2. [오구라] 자료집과 [정문연] 자료집
1.3. 형태음소론적 츠우이와 언어의 공간적 확산 이론
1) 형태음소론적 층위에 따른 분석
2) 언어의 공간적 확산에 따른 분석
1.4. 연구의 구성
제2장 형태음소론적 층위에 따른 방언 자료와 지리언어학
2.1. 문헌 자료와 방언 자료의 차이점
2.2. 음운 변화와 언어의 공간적 확산
2.3. 형태음소론적 츠우이에 따른 지리적 분포와 변화 추이
제3장 '아'와 '으' 분화형의 분포와 변화 추이
3.1. '아'의 변화
1) 어두 음절에서의 ‘아’의 변화
(1) '아〉오'의 변화
(2) '아〉어'의 변화
2) 비어두 음절에서의 ‘아’의 변화
(1) '아〉으'의 변화
(2) '아〉이'의 변화
(3) '아〉오(우)'의 변화
3.2. '으'의 변화
1) 치찰음과의 결합적 변화
2) 순음과 의 결합적 변화
3) 기타 음운과의 결합적 변화
(1) ‘ㄱㄲ’ 아래 ‘으’의 변화
(2) ‘오/우’ 아래 ‘으’의 변화
(3) '으〉어'의 변화
제4장 전부모음화의 분포와 변화 추이
4.1. '이'모음 역행동화
1) 개재자음이 없는 경우
2) 개재자음이 있는 경우
(1) 1개의 개재자음이 있는 경우
(2) 2개의 개재자음이 있는 경우
4.2. 어말 '이'의 첨가
1) '아〉애’의 변화
2) '어〉에’의 변화
3) '오〉외’의 변화
4) ‘우〉위/이’의 변화
4.3.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1) '야〉애’의 변화
2) '여〉에’의 변화
3) '요〉외’의 변화
제5장 자음 분화형의 분포와 변화 추이
5.1. 'ㄱ', 'ㅂㅇ', '△'의 대응 관계
1) 'ㄱ[γ]'의 변화
2) 'ㅂㅇ[β]'의 변화
3) '△'[z]'의 변화
5.2. 기타 자음의 대응 관계
1) 'ㅎ'의 변화
2) 'ㄱ'의 변화
제6장 결론
[부록] 한국 언어 지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