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말
한국어판 머리말
옮긴이의 말
머리말
제1장 서론
제1절 근대 행정학의 한계
제2절 민주주의 맥락에서 사회적 구성
제3절 변증법적 가능성
제4절 교차 문화적 시각에서 배울 점
제5절 이 책의 지향
제2장 행정의 변화하는 맥락
제1절 20세기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
제2절 새로운 세기를 향한 교훈
제3절 행정의 의미에 대한 재해석
제4절 행정행위에서의 변증법
제5절 결론
제3장 사회적 구성 접근 방법
제1절 기능주의적 시각의 한계
제2절 해석적 비판이론과 탈근대주의 시각들
제3절 사회적 구성주의 접근 방법의 이론화
제4절 사회적 구성으로서의 세계화
제5절 성찰
제4장 사회적 설계로서 행정
제1절 은유의 사용과 남용
제2절 설계의 기본 개념
제3절 과학 또는 기술로서 행정, 그리고 사회적 설계
제4절 행정 및 정책 설계의 양식
제5절 결론
제5장 사회적 설계의 사례
제1절 공동 생산과 지역사회 경찰 활동
제2절 실리콘 밸리에서 정보 격차 줄이기
제3절 노숙자 돕기
제4절 대중교통 체계의 설계
제5절 클린턴의 의료 서비스 개혁 계획: 사회적 설계에서 점증주의까지
제6절 사회적 설계의 한계
제7절 결론
제6장 행위, 실천, 변화에 대한 이해
제1절 조직행위의 변증법
제2절 실천과 변화
제3절 실천 지향적 행정관리자
제4절 조직 변화와 행위 연구
제5절 결론
제7장 사회적 구성 관점에서의 자아
제1절 자아의 사회적 구성: 동양 및 서양의 관점
제2절 자아와 사회성: 서양의 관점
제3절 자아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 관점
제4절 동서양 관점들의 함의
제5절 사회적 맥락에서의 자기 성찰적 개인
제6절 관료제 안에서 자아
제7절 결론
제8장 윤리적 책임성의 사회적 구성
제1절 행정관리자의 윤리적 딜레마
제2절 조직에서의 윤리 구성
제3절 자율성에 대한 일반적 개념: 유교와 서양의 견해
제4절 시민적 덕성과 공공재
제5절 행정관리자와 시민을 연결하기
제6절 결론
제9장 시민사회와 거버넌스의 잠재력
제1절 시민사회의 삼각 축: 하나의 새로운 거버넌스 형태
제2절 계층제적 거버넌스에서 민주적 거버넌스로
제3절 사회 변화의 원동력으로서 비정부조직
제4절 로컬 거버넌스의 사례: 무료급식소 문제 해결하기
제5절 근대화·산업화 발전 계획
제6절 세계화와 민주화: 하나의 모순
제7절 함의
제10장 결론
제1절 요약
제2절 효과적인 사회적 구성
제3절 행정(학)의 도(道)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