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석조미술로 보는 태봉의 역사
제1장 태봉 석조미술의 꽃: 풍천원 석등
태봉국도성의 건립과정과 풍천원 석등의 조성시기
풍천원 석등의 양식과 형식
풍천원 석등 조성 장인
석등 건립 위치와 조성 책임자
제2장 구전되는 역사: '궁예미륵' 구비전승
궁예관련 구비전승 선행연구
'궁예미륵'석불에 관한 구비전승의 분포와 특징
'궁예미륵'으로 전칭되는 석불의 특징
'궁예미륵'석불에 관한 구비전승 발생배경
제3장 '궁예미륵':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
현상과 양식적 특성
조성시기와 존명
제4장 '궁예미륵'조성배경: 궁예와 양길의 전쟁, 비뇌성 전투
궁예세력의 형성 과정과 비뇌성의 위치
비뇌성 전투와 전장
토착 세력의 동향
제5장 후삼국 통일의 염원: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
현상과 양식적 특징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과의 비교
조성시기와 조성배경
Ⅱ. 석조미술로 보는 고려의 역사
제6장 경기도내의 통일신라 석불: 죽산리 석불입상
죽주의 역사와 안성 봉업사지 일대의 석조미술
죽산리 석불입상의 조성시기
제7장 태조 왕건의 봉업사 중창과 능달: 봉업사지 석불입상
봉업사의 중창과정과 배경
봉업사지 석불입상을 통해 본 봉업사 중창의 인력수급
제8장 새로운 통일왕조의 출현 :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
개태사 연구사 검토 및 석조삼존불입상 조성에 대한 제 의견
馬城에 대한 제 의견
마성의 위치와 석조삼존불입상의 조성배경
제9장 왕즉불 사상의 구현 : 개태사 석조공양상
석조공양상의 현상과 조성시기
석조공양상의 조성배경
제10장 고려 왕종을 보는 또 다른 시각: 미술사와 고고학을 통하여
집권초기-『정관정요』를 읽는 군주
집권중기-황제 체제의 선포
집권후기-왕즉불 사상의 추구
제11장 신양식의 출현과 확산: 보개 착용 석조불상
보개용 석불의 지역별·시대별 분포
형태별 분포
보개의 변천
면류관형 보개 착용 석불의 모방과 전파
제12장 고려 석조미술의 보고: 충주 미륵대원지
발굴 유물을 통한 시기추정
석조미술을 통한 시기추정
조성시기와 배경
제13장 전통의 단절과 계승: 봉녕사 석조삼존불상
봉녕사 석조삼존불상의 현상
봉녕사 석조삼존불상의 조성시기
봉녕사 석조삼존불상의 미술사적 의의
참고문헌
도판목록
수록논문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