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제2판. '해양석유개발 플랜트 산업', '석유의 발견과 활용', '오일 및 가스 생산용 설비', '가스처리공정과 LNG', '심해저(Subsea) 오일/가스 개발', '유전 운용을 위한 유틸리티 시스템', '해양플랜트 적용 준비요소' 등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chapter 01 해양석유개발 플랜트 산업 1.1 해양플랜트 산업의 범주 1.2 해양석유개발 플랜트의 산업의 개요 1.3 가치사슬에 의한 전문기업들 1.4 해양플랜트 건조 분야-계약 이행절차 1.5 해양석유개발 플랜트 산업의 공급사슬(Supply Chain) 1.6 해양플랜트 기자재의 특성 1.7 해양석유개발 플랜트 산업의 수행 1.8 한국 조선공업의 경쟁력 확보 1.9 한국 해양플랜트 산업의 미래
chapter 03 오일 및 가스 생산용 설비 3.1 육상 시설(Onshore facility) 3.2 해양 설비-고정식 3.3 부유식 생산설비 3.4 주요 채굴공정 3.5 주입정과 회수증진법 3.6 인공 리프팅 방식(Artificial lift) 3.7 유정의 유지보수 용어
chapter 04 오일 및 가스 처리공정 4.1 매니폴드와 집하 라인 4.2 유수분리기 4.3 가스 처리와 압축장치(Gas treatment and compression) 4.4 오일과 가스의 저장과 계측
chapter 05 가스처리공정과 LNG 5.1 가스처리공정 5.2 LNG
chapter 06 심해저(Subsea) 오일/가스 개발 6.1 심해 오일/가스 산업 6.2 해저개발 플랜트 구성 6.3 심해의 환경과 대응 요소 6.4 해저 오일/가스 생산공정 6.5 해저 처리공정 6.6 SURF-해저 설치 요소 6.7 SURF-이송 라인의 설치 6.8 SURF-제어장치
chapter 07 유전 운용을 위한 유틸리티 시스템 7.1 공정제어 시스템 7.2 안전 시스템과 기능안전 7.3 통합운영 7.4 전원장치 7.5 소각 시스템(Flare and atmospheric ventilation) 7.6 계기용 압축공기(Instrument air) 7.7 공기조화 시스템 7.8 물의 사용 7.9 활용되는 화학제품(Chemicals and additives) 7.10 텔레커뮤니케이션
chapter 08 해양플랜트 적용 준비요소 8.1 용접품질 및 검사 8.2 해양플랜트용 재료
부록 01 비전통에너지원 1.1 배경 1.2 비전통에너지의 적용 1.3 배출과 환경영향(Emissions and environmental effects)
부록 02 해양플랜트 관련 코드 1. 미국석유협회 API(American Petroleum Institute) Code 2. DNV(노르웨이 선급협회) 3. 노르웨이 해양산업표준(NORSOK)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암석파괴이론2002 / 양형식 ; 장명환 공저 /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광업사 : 근대 이전을 중심으로 2021 / 지음: 이정인, 이태섭 / 에스티엔
탄소 기술관료주의 : 동아시아 탄소 중독의 기원과 종말을 찾아서 2024 / 지음: 빅터 샤우 ; 옮김: 이종식 / 빨간소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