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4년 독일 베를린 하르낙 하우스에서 개최된 <한독 통일역사교육포럼>의 결과물이다. 한국과 독일의 학자들과 교육일선에서 통일과 연관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이 참여해 엮은 책으로, 학술과 현장교육의 경험이 연계된 형태로 구성되었다.
목차
서문 - 한국과 독일, 통일역사교육을 말하다/김춘식
1부 - 한국과 독일의 통일교육 현황과 과제 1.독일의 재통일-사건과 통찰/로타 드 메지에르 2.한독 통일역사교육의 현재와 미래/김춘식 3.통일을 위한 준비 : 교육은 무엇을 할 것인가?/한만길 4.한국의 통일정책과 대북정책에 따른 통일교육의 방향성 모색/박광기 5.통일교육의 현황과 미래 대안/박찬석 6.새 패러다임으로서 학교 통일교육의 방향 및 내용의 재설정/조정기 7.1990년 이후 교육제도에서 나타난 문제점들/베르너 페니히 8.한국 학교 통일교육의 실태와 내실화 방안/방연주 9.통일한국의 권력구조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이규영
2부 - 통일교육에서 통일역사교육으로 1.통일을 위한 역사교육 VS. 역사를 통한 통일교육/김기봉 2.전후 독일역사 통합의 방법과 문제점/크리스토프 클레스만 3.독일 통일 후의 역사교육과 통합적 전후시대사의 모색/한운석 4.한국 중학교 역사교육의 실태와 발전방향/정원영 5.통일 역사교육을 위한 고등학교 역사수업의 실태와 대안/신석균 6.1990년 이후 베를린의 역사과목 교육계획안 작성/잉그리드 티넬-자게 7.학교 수업에서의 민주주의와 독재/옌스 휘트만 8.장벽붕괴 25년 후 역사수업에서 동독을 어떻게기억할 것인가?/베티나 알라비
서가브라우징
다시 진보를 생각한다 : 대한민국의 권력지도와 진보의 미래2009 / 김창호 지음 / 동녁
북한정치와 김정은 = North Korea politics and Kim Jung Un2012 / 저자: 김창희 / 法文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