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청년들이 묻는 질문에 근거해서 개인주의, 실용주의, 구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 정신분석학 등에 대해 설명한다. 저자가 전달하려는 것은 현실의 모순을 풀 수 있는 실천적 이론이다. 철학의 실천적인 역할을 중시하는 저자는 변증법적 사유를 강조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철학 문답을 시작하면서
안녕, 청년들!
상식을 전복하는 철학의 어려움
개인주의, 욕망의 자유를 넘어
1부_대중조작과 삐딱하게 읽기
1강 경험 금지선을 넘는 용기
우리에게는 왜 꿈이 없을까?
안녕들 하십니까?
졸속 사회
경험 금지선
불온한 꿈
2강 프레임 전쟁에 갇히지 않기 위해
생각의 복사기가 있나요?
생각의 중요성
저항적 의식
얼보이는 복사기
프레임 전쟁
삐딱하게 보기
3강 괴벨스의 대중조작 분석
담양 소쇄원의 미학
실증주의의 한계
뉴라이트의 궤변
괴벨스의 대중선동 기술
유대인 박해의 논리와 두려움
2부_힐링보다 원인 치유가 먼저
4강 《아프니까 청춘이다》 유감
코스모스
김난도의 《아프니까 청춘이다》
당신은 몇 시?
서부 개척정신
유자와 탱자
5강 위로에서 마음 치유로
마음 치유로서 힐링
불교적 지혜
레크리에이션과 마음 치유
기호적 소비
쾌락을 조장하는 국가
정신적 힐링의 필요성
3부_진리의 인식과 변증법
6강 사이의 공동체를 향하여
로세토를 아시나요?
새로운 공동체의 꿈
사이의 공동체
사람의 아름다움
7강 양비론의 장난
진리와 진실
세월호 특별법과 양비론
뉴라이트의 역사 왜곡과 양시론
후기구조주의와 눈 위의 안경
구조주의적 무차별성
8강 구조주의 극복의 길
직관주의와 변증법
자기 모순적 인식
인식틀의 확장과 해탈의 길
모순에 직면하는 용기
9강 변증법의 길과 과학적 인식
박정희 평가와 객관성
김지하의 오적
‘하나님은 유언비어를 통해 말한다’
염원과 진실
미래의 관점에 서서
염원의 눈으로 보자
4부_한국의 사이비 실용주의
10강 꺼삐딴 리의 기회주의적 실용주의
시험 유감
장학금 확충은 실용적인가?
실용주의와 백묘흑묘
꺼삐딴 리
비정상 시대의 사이비 실용주의
11강 수명 20년짜리 인간 제품
월정사 약사보살상
대학의 실용교육화
20년짜리 공장 제품
순수학문 강조하는 독일 대학 교육
장자의 쓸모 있는 빈 배
오타쿠 문화
12강 변태적 도구주의
학문은 이루기 힘들다
원칙주의와 무위사상 비판
본래적 가치와 도구적 가치
변태적 도구주의
사용가치가 교환가치에 종속된 변태 사회
악의 진부성
5부_남에게 피해 주지 않는 개인주의 가능한가?
13강 자유경쟁의 허상
가을과 삼겹살
육법당
삼성의 공채는 공정한가?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자본주의와 학벌 사회
공정한 경쟁이 없는 현실 자본주의
오직 승리와 효율성이 목표인 자본주의
14강 민주주의라는 쇼
앙데팡당 전과 인상파 화가
개인주의는 냉혹한 이기주의
민주주의와 개인주의
대의제 민주주의와 관료국가
자유민주주의는 쇼
폭력으로 유지되는 미국의 민주주의
민주주의의 역설, 종북몰이
15강 무늬만 자유
개인주의의 또 다른 지반인 자유의 딜레마
아큐 같은 한국의 장군들
근대 개인주의와 욕망의 해방
비합리적 충동
푸코와 훈육
사랑의 꿈만 허가 받은 근대적 개인
6부_공동체주의와 사회주의
16강 아테네와 스파르타
조직을 폭력이라 말할 수 있나?
굴러먹던 자와 더불어 사는 자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조합과 단체
공동체주의 옹호한 아테네의 철학자들
폴리스적 존재와 세계시민
17강 마이클 샌델의 서사적 공동체
인권이라는 드림(dream)
인권의 이름으로 이슬람, 사회주의 국가 비판
마이클 샌델과 존 롤스의 논쟁
합의나 계약이 불가능한 것
공동체적 가치의 근원은?
역사적 사명과 서사적 가치
18강 무정부주의와 프랑켄슈타인
프랑켄슈타인과 괴물
괴물 자본주의 살려보려는 무정부주의
코뮌주의의 두 가지 흐름
생협운동과 소유 개념
프루동, 소유는 도둑질이다
협업과 자치의 원리
영화 <랜드 앤드 프리덤>
무정부주의의 한계, 분열과 정체
19강 마르크스의 사회주의 청사진
역사의 희비극
역사의 종말
마르크스의 프루동 소유론 비판
민주를 넘어 자치로
무정부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결합
20강 사회주의, 왜 무너졌을까?
폭력의 무기력
사회주의의 경제적 문제점
사회주의적 생산의 새로운 가능성
개혁 개방보다 더 급한 것
21강 사회주의에 희망이 있는가?
독일 예나, 도심 한가운데 있는 공장 굴뚝
<프라하의 봄>과 자유주의적 지식인
정치판이 필요 없는 사회주의 국가
지식인과 전문기술 노동자의 소외
당의 관료화
두 가지 관료주의
영구혁명
7부_새로운 철학을 찾아서
22강 홍대 클럽문화와 히피 문화
홍대 클럽문화와 쾌락의 자유
사유의 열린 틀
전문기술 노동자의 출현
비트와 히피 문화
관료적 억압과 성적 자유
대마초와 명상을 통한 도피
마르쿠제 철학과 성 에너지
23강 모스트모던 자유주의의 실상과 한계
쾌락의 자유
근대적 자유주의와 포스트모던 자유주의
포스트모던 합의주의
포스트모던 자유주의의 실상
포스트모던 자유주의자를 지배한 욕망과 두려움
24강 들뢰즈, 생명력에 권력을
종말적 인간과 쥐구멍 속에서의 자유
들뢰즈의 미시적 생명력의 해방
생명력에 권력을!
도스토옙스키의 《악령》과 자발적 의지
25강 라캉, 욕망의 타자성과 공동체
프로이트와 라캉의 차이
욕망의 타자성
사랑의 리비도와 공동체
개체의 자립성 억압하는 타자적 욕망
노동과 유희, 그리고 사랑
26강 두려움을 모르는 자유
들뢰즈와 라캉의 결합
사람의 자주성
동학사상의 자발성과 공동체적 선
자주성에 이르는 길
항상 기뻐하는 혁명적 낙관주의
두려움을 모르는 자유
철학 문답을 마무리하면서
사토리 세대
곡신불사(谷神不死)), 사회주의는 죽지 않았다
조선공산당의 분파 투쟁
나약한 지식인의 고질병
사이의 공동체와 자주성
노아의 방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