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 식량낭비 줄이기
  • 식량낭비 줄이기

    발행연도 - 2016 / 지음: 채희정 ; 이숙종 ; 이철호 / 식안연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68148
    • ISBN 9791186396308
    • 형태 243 p. 21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사회문제 > 생활문제
    • 카테고리분류 의학/건강 > 건강정보 > 음식과 건강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식량안보시리즈 5권. 음식낭비를 줄이는 것은 식량 자급률을 높이는 방법이다. 우리나라는 곡물 수요의 75%를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식량낭비 구조를 분석하고 식량낭비를 줄이기 위한 기술적 방법과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제 1장 서 론
1.1. 식량의 경제학
1.2 세계의 식량 사정과 식량 손실
1.2.1. 세계의 식량 사정
1.2.2. 세계의 식량낭비 현황
1.3 한국의 식량 사정과 낭비 현황

제2장 식량낭비의 원인과 실태
2.1 수확 후 손실
2.1.1 신선식품의 수확 후 손실률
2.1.2 수확 후 손실비용
2.2 가공 유통과정의 손실
2.2.1. 운송과정
2.2.2 가공 및 포장과정
2.2.3 판매과정
2.2.4. 가공식품 폐기물 발생 요인 분석
2.2.5. 가공식품 폐기물의 경제적 손실 분석
2.3 소비단계에서 음식폐기 현황
2.3.1 음식물폐기물 감소를 위한 정부 정책
2.3.2 외식산업과 음식물폐기물
2.3.3 학교급식과 음식물폐기물
2.3.4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폐기물
2.4 사회 문화, 구조와 정책적 원인
2.4.1. 문화적 요인
2.4.2. 정책적 요인
2.4.3. 소득수준과 사회 인프라의 영향

제 3장 식량낭비 저감화 기술
3.1. 수확후관리기술
3.1.1. 과채류의 생리적 특징
3.1.2. 공기조성 조절에 의한 저장방법
3.1.3. 건조 방법
3.1.4. 곡류 저장기술
3.1.5. 최소가공방식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저감화
3.2. 보존제를 이용한 화학적 저장방법
3.2.1. 전통적인 절임식품
3.2.2. 화학보존료
3.2.3. 회학보존료 사용 절감 기술
3.3. 가열살균에 의한 저장성 향상
3.3.1. 식품의 열처리 공정
3.3.2. 통조림 제조기술
3.3.3. 레토르트 파우치의 개발과 이용
3.4. 콜드체인의 이용
3.4.1. 냉동기
3.4.2. 급속냉동과 완만냉동
3.4.3. 냉동방법
3.4.4. 냉동채소류의 콜드체인시스템
3.4.5. 냉장기술
3.5. 이온화 조사기술의 활용
3.5.1. 이온화 조사기술의 이용 현황
3.5.2. 이온화 조사기술의 안전성
3.5.3. 이온화 조사기술의 사회경제적 이득
3.5.4. 이온화 조사기술을 가로막는 난제들
3.6. 식품포장기술
3.6.1. 식품 포장재
3.6.2. 기능성 포장재
3.6.3. 무균포장
3.7.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식량낭비 저감화
3.7.1. IoT 3대 주요기술
3.7.2. 사물인터넷과 식량산업
3.7.3. 유비쿼터스 주방기기
3.8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사료화 및 에너지자원화
3.8.1 음식물쓰레기의 구성
3.8.2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3.8.3 음식물쓰레기 처리의 환경영향 및 경제성

제 4장 식량낭비를 줄이기 위한 제도적 개선
4.1. 식품안전 관리제도의 개선
4.1.1. 식품안전과 식량안보
4.1.2. 위해요소(Hazard)와 위험(Risk)
4.1.3. 식품의 이물관리 제도
4.2 유통기한 표시제도의 개선
4.2.1. 식품기한의 정의와 각국의 적용사례
4.2.2. 유통기한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병폐
4.2.3. 유통기한 표시제도의 개선 방향
4.3 푸드뱅크의 활용
4.3.1. 선진국의 푸드뱅크
4.3.2. 우리나라 푸드뱅크 활동
4.3.3. 식품기탁제도의 활성화 방안
4.4. 단체급식 및 외식산업의 노력
4.4.1. 원료 선택과 식단 구성
4.4.2. 1회 제공량 제한
4.4.3. 뷔페식당의 식품폐기 감축 요령
4.4.4. 조리분량 조절과 적정 배식샘플 제시
4.4.5. 남은음식 포장하기
4.5. 식량낭비를 막기 위한 국민교육
4.5.1.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
4.5.2. 환경부의 음식물쓰레기줄이기 캠페인
4.5.3. 식량자급실천국민운동

5. 식량낭비를 줄이기 위한 정책제언
(1) 식품 유통기한 표시제도의 개선
(2) 식량안보를 고려한 식품안전 수준의 설정
(3) 수확 후 관리를 위한 투자와 교육 확대
(4) 식품유통라인의 관리 강화와 폐기물 감축
(5) 외식업소와 단체급식업소의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운동 강화
(6) 학교급식을 통한 좋은 식습관 길들이기
(7) 관련학회와 시민단체들의 식량낭비 줄이기 노력 지원
(8) 식량낭비 줄이기 목표 설정과 모니터링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2007 / 장 지글러 지음 ; 유영미 옮김 / 갈라파고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2016 / 지음: 장 지글러 ; 옮김:유영미 / 갈라파고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2016 / 지음: 장 지글러 ; 옮김:유영미 / 갈라파고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2007 / 장 지글러 지음 ; 유영미 옮김 / 갈라파고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2007 / 장 지글러 지음 ; 유영미 옮김 / 갈라파고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2007 / 장 지글러 지음 ; 유영미 옮김 / 갈라파고스
음식의 미래: 제로 슈거, 곰팡이로 만든 단백질, 닭 없는 닭고기, 배양육… 입맛과 건강, 지구를 구할 현대의 연금술은 가능할까? 음식의 미래: 제로 슈거, 곰팡이로 만든 단백질, 닭 없는 닭고기, 배양육… 입맛과 건강, 지구를 구할 현대의 연금술은 가능할까? 2023 / 지음: 라리사 짐버로프 ; 옮김: 제효영 / 갈라파고스
식량낭비 줄이기 식량낭비 줄이기 2016 / 지음: 채희정 ; 이숙종 ; 이철호 / 식안연
먹거리와 농업의 사회학 먹거리와 농업의 사회학 2013 / 마이클 캐롤란 지음 ; 김철규 외 옮김 / 따비
먹거리와 농업의 사회학 먹거리와 농업의 사회학 2013 / 마이클 캐롤란 지음 ; 김철규 외 옮김 / 따비
(KBS 스페셜) 종자, 세계를 지배하다  : 종자는 누가 소유하는가 (KBS 스페셜) 종자, 세계를 지배하다 : 종자는 누가 소유하는가 2014 / KBS스페셜 <종자 세계를 지배하다> 제작팀 지음 ; 정현덕 기획 ; 장경호 엮음 / 시대의창
왜 음식물의 절반이 버려지는데 누군가는 굶어죽는가 왜 음식물의 절반이 버려지는데 누군가는 굶어죽는가 2012 / 슈테판 크로이츠베르거, 발렌틴 투른 지음 ; 이미옥 옮김 / 에코리브르
왜 음식물의 절반이 버려지는데 누군가는 굶어죽는가 왜 음식물의 절반이 버려지는데 누군가는 굶어죽는가 2012 / 슈테판 크로이츠베르거, 발렌틴 투른 지음 ; 이미옥 옮김 / 에코리브르
왜 음식물의 절반이 버려지는데 누군가는 굶어죽는가 왜 음식물의 절반이 버려지는데 누군가는 굶어죽는가 2012 / 슈테판 크로이츠베르거, 발렌틴 투른 지음 ; 이미옥 옮김 / 에코리브르
새로운 기아  : 세계는 지금처럼 부유한 적도 없었지만 지금처럼 가난한 적도 없었다 새로운 기아 : 세계는 지금처럼 부유한 적도 없었지만 지금처럼 가난한 적도 없었다 2009 / 크리스티앙 트루베 지음 ; 김성희 옮김 / 알마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여가와 인간행동 여가와 인간행동 2006 / Gene Bammal ; Lei Lane Burrus-Bammal [공저] ; 하동현 ; 황성혜 [공]옮김 / 백산출판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