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1부 '신여성 나혜석과 페미니즘', 2부 '대화주의와 상호텍스트성', 3부 '나혜석 문학의 과제와 일본 백화파의 영향', 4부 '급진주의 페미니즘 그리고 젠더지리학', 5부 '모성 이데올로기 비판과 개방결혼의 옹호'로 구성되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신여성 나혜석과 페미니즘
01 신여성 나혜석의 페미니즘
1. 머리말
2. 전기 페미니즘과 단편소설 「경희」
3. 후기 페미니즘과 희곡 「파리의 그 여자」
4. 결론
02 이광수의 『개척자』와 나혜석의 「경희」에 대한 비교연구
1. 머리말
2. 이광수의 페미니즘과 『개척자』
3. 나혜석의 페미니즘과 「경희」
4. 두 작품의 비교-결론을 대신하여
제2부 대화주의와 상호텍스트성
03 나혜석의 「어머니와 딸」과 대화주의
1. 뉴밀레니엄, 나혜석의 화려한 복권
2. 대화체와 대화적 상상력
3. 제3의 길 모색
4. 맺음말
04 나혜석의 미술과 문학의 상호텍스트성
1. 미술과 문학의 상호텍스트성
2. 나혜석의 미술적 경향
3. 나혜석의 미술적 경향과 문학작품
4. 결론
제3부 나혜석 문학의 과제와 일본 ‘백화파’의 영향
05 나혜석 문학연구의 현황과 과제
1. 문학가인가 화가인가
2. 나혜석 전집의 확정과 「나혜석기념사업회」의 역할
3. 나혜석 연구의 현 단계
4. 나혜석의 주요 연구자
5. 나혜석 문학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
6. 결론
06 나혜석과 「백화파」의 영향
1. 1910년대 일본 유학생 사회에 끼친 백화파의 영향과 나혜석
2. 『백화』의 후기인상주의 소개와 화가 나혜석
3. 나혜석의 글에 대한 백화파적 시각의 다시읽기
4. 결론
제4부 급진주의 페미니즘 그리고 젠더지리학
07 나혜석의 급진적 페미니즘과 개방결혼 모티프
1. 서론
2. 「이혼고백장」에 나타난 급진적 페미니즘
3. 「파리의 그 여자」에 나타난 개방결혼 모티프
4. 결론
08 나혜석 문학의 공간과 젠더지리학
1. 서론
2. 나혜석 문학에 재현된 공간과 젠더지리학
3. 결론
제5부 모성 이데올로기 비판과 개방결혼의 옹호
09 나혜석의 모성 이데올로기 비판과 여성적 글쓰기
1. 「아빠 힘내세요」와 성역할 고정관념
2. 나혜석의 모성 비판
3. 모성의 현대적 의미
10 폴리아모리스트 나혜석
1. 간통죄의 폐지
2. 나혜석의 간통과 개방결혼의 논리
3. 정조는 취미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