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인을 잡는 게 일인 경찰마저도, 경찰서장마저도, 자신이 ‘범인’이 되면 자기가 저지르지도 않은 죄를 ‘거짓자백’할 수 있다. 범죄심리학의 권위자 하마다 스미오 교수는 「오판 연구 리포트」에서 피의자가 취조과정에서 ‘거짓자백’으로 전락하는 심적 상황의 8가지 특징을 이렇게 정리한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어떤 이야기-고독 속의 ‘전락’자백 이 책을 읽는 데에 필요한 용어해설집 1. 수사 장면에서 듣는 단어 2. 기소부터 판결에 이르는 과정에서 듣는 단어 3. 판결과 그 후 4. 기타
제2장 네 원죄 사건의 심리학적 분석과 검증 1. 들어가며 2. 네 원죄 사건의 심리학에 의한 진술 분석
제3장 꿰뚫어보지 못하는 ‘거짓자백’ 1. 들어가며-자백의 임의성과 신용성 2. 네 원죄 사건의 형사법학적 분석 3. 네 사건의 ‘거짓자백’과 재판관 판단의 특징 4. 자백의 신용성에 관한 판단방법 5. 자유심증의 위험성과 그 한계 6. 현재의 형사절차에 관련된 법률은 어떤 것이 있는가 7. 법의 이상과 현실의 간격 8. 일본 형사절차의 역사―자백조서를 중심으로
제4장 재판원이 된 당신에게 1. 재판원이 된다는 것 2. ‘거짓자백’은 예외인가 3. 재판원 제도와 배심 제도의 차이 4. ‘거짓자백’과 사형 5. 자, 형사재판으로 6. 자백에 임의성이 있는가 7. 자백에 신용성이 있는가 8. 의심스러울 때에는 피고인의 이익으로
제5장 원죄를 줄이기 위하여-제도개혁을 위한 제언 1. 형사재판을 우리 자신의 것으로 2. 우리의 제언
후기 옮긴이 후기 엮은이와 글쓴이 소개 옮긴이 소개
서가브라우징
형사소송법2013 / 저자: 임동규 / 법문사
형사소송법2012 / 임동규 저 / 法文社
(사례) 형사소송법2014 / 정웅석 ; 백승민 공저 / 大明出版社
(사례) 형사소송법2016 / 저:정웅석 / 大明出版社
형사소송법 강의안2017 / 편저: 정주형 / Willbes
수사절차의 몇가지 문제점2004 / 최병천 저 / 법률정보센타
고소의 정석 : 억울한 사람들을 위한 실전 소송 메뉴얼 2024 / 지음: 금윤화 , 임애리 / 바다출판사
전락자백 : 사람은 왜 짓지도 않은 죄를 자백하는가2015 / 엮음: 우치다 히로후미, 야히로 미쓰히데, 가모시다 유미 ; 옮김: 김인회, 서주연 / 뿌리와이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