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몸이란 무엇인가?
후주
찾아보기
몸의 지형학-몸, 육체, 신체, 살 / 김종갑
대중매체에 나타난 몸 관련 용어
육체와 신체
육체와 신체의 차이
몸과 살
자유와 인격의 구성에서 몸의 기능 / 이근세
라이프니츠의 가설-실체적 연결고리
자유의 문제
행동과 몸
인격의 구성
사회적 몸은 가능한가? / 정지은
몸과 표현의 주체
모방과 사회성
언어적 의미와 몸적 상징의 의미
사회적 몸과 제도화
나오면서
얼굴 형상 지워 내기로서의 소수자성 / 윤지영
확정적 경계와 명료한 구획성으로서의 정체성 해체작업
산종의 전복적 전략성
하위주체Subalterne로 구성되는 방식
○○녀란 낙인찍기
나가는 말-유희하는 몸corps-joueur으로서의 소수자성
정의의 문제 / 서윤호
정의란 무엇인가?
전통적 정의론-각자에게 그의 몫을!
현대의 정의론-절차적 정의와 다원적 정의
정의의 한계와 미학적 정의의 가능성
미학적 정의론의 이론적 기초
법감정과 미학적 정의의 의미
욕망, 몸의 증상 그리고 치유-라캉의 관점에서 본 프리다 칼로의 삶 / 이수진
현대인의 증상에 대한 궁극적 치유의 모색
몸의 증상과 욕망
증상과 동일화로서의 치유
자신에 대한 진실 탐구와 윤리
몸짓에 깃든 마음의 리듬 / 이건호
들어가면서
걸음에는 다양한 리듬이 있다
걸음에는 리듬 있는 소리가 담겨 있다
걸음에도 저마다 다른 리듬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걸음에 대한 음악적 해석
급격한 몸짓 변화에도 음악적 패턴이 담겨 있다
몸의 리듬은 자연의 주기와 연결되어 있다
리듬은 몸속에도 있다
걷기는 뇌의 리듬운동을 자극한다
심장에도 박동에 따른 리듬이 있다
몸짓리듬은 소리로 표출되며 소리를 통해 몸짓을 알 수 있다
몸짓에는 각각의 소리가 따른다
몸짓은 몸의 중심과 말단의 연결망을 통해 일어난다
몸짓은 시각정보를 통해 조절된다
리듬행동을 활용한 것에는 무용과 무술이 있다
몸짓에는 마음이 담겨 있다
몸과 마음의 연결고리는 호흡이다
리듬을 살리는 몸짓과 마음가짐
리듬을 타면 3,000배도 지치지 않고 흥겹다
나가면서
병든 몸·치유되는 몸·윤리적인 몸-오장환의 시를 중심으로 / 임지연
오장환에게 몸이란 무엇이었을까?
병리적 몸에서 윤리적 몸으로
부정적 시선 주체에서 행동하는 생명 주체로
몸은 정체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영화 <그녀>에 나타난 포스트휴먼의 사랑 / 주기화
들어가는 말
인간과 기계의 연속적 관계
기계 속의 인간의 진화
인간 속의 기계의 진화
인간과 기계의 공진화
포스트휴먼의 하이브리드적 성향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