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약어표
제1부 아씨시의 프란치스코
제1장 진정한 철인이며 삶의 대가(大家)
1. 성 프란치스코의 독창성
2. 성인의 보편적이며 심오한 인간애
3. 하느님을 향한 사랑
4. 자연에 대한 사랑
5. 평화의 메시지를 전하는 일꾼
6. 진정한 자유인
제2장 회개의 달인
제3장 태양 형제의 노래(피조물의 노래)
제4장 소유와 존재
1. 프란치스코의 무소유 정신
2. 가난의 자세
3. 가난의 기쁨
제5장 사도직
1. 서론
2. 사도직의 개념
3. 성 프란치스코와 사도직의 기원
4. 성 프란치스코의 사도직
1) 노동
2) 애긍(동냥)
3) 설교
4) 여행
5) 돈
5. 사도직과 주님의 정신
6. 맺는 말
제6장 노동
1. 프란치스코의 일과 빈자(貧者)
2. 금세기 노동과 프란치스칸 사상
3. 현대 프란치스칸 구제책
제7장 교육의 정도와 문화
1. 문화란 무엇인가?
2. 프란치스코가 받은 교육
3. 프란치스칸 문화
제8장 선교와 순교 정신
1. 프란치스코의 선교 사도직
2. 순교까지 자처하는 선교 활동
3. 선교와 복음 정신
4. 회교도들에 대한 선교 활약상
5. 사라센 지역의 모범적 선교와 현대적 과제
제2부 프란치스칸 사상과 인간
제1장 프란치스칸학파
1. 기원(1230-1250)
2. 고전 시대(1250-1330)
3. 첫 번째 학파 시기(1330-1500)
4. 1500-1700년의 학파들
5. 쇠퇴기(1700-1850)
6. 재생기(1850- )
1) 신앙과 이성 간의 비구분
2) 신 존재 증명
3) 질료 형상론의 형이상학에 있어 형상의 복수성
4) 지성의 구분
5) 신적 조명(Illuminatio divina)
6) 세계 창조
7) 주의주의(主意主義)
제2장 스콜라 철학 안에서 프란치스칸 사상
1. 스콜라학 안에서의 프란치스칸학파의 역할
2 프란치스칸 사상의 흐름
3 프란치스칸 정신과 학파의 특징
4 프란치스칸학파의 학문적 의의
5. 프란치스칸 사상의 현실적 의미
제3장 프란치스칸 사상 안에서의 인간 문제
1. 인간 문제에 대한 미진한 해결책
2. 중세적 해결책 모색
3. 인간성의 표본인 성 프란치스코
1) 존재 방식
2) 만남
3) 완덕의 거울
4) 우주적 가정
5) 관계성
6) 인격적 소통
7) 수용성
8) 형제성
4. 프란치스칸 인간학
5. 성 보나벤투라: 아리스토텔레스와 아우구스티누스 사상 간의 조화
1) 인간 이성
2) 인간 인격
6. 보나벤투라의 인간의 목적
7. 둔스 스코투스의 인간 개념
8. 성 토마스와 헨리쿠스에 대한 스코투스의 반박들
9. 인간 운명
10.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