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01 종교를 생각한다
탐구대상으로서의 종교
종교에 관한 물음
네 가지 물음
신은 있는가?
인간의 의미는 무엇인가?
인간은 성스러움과 어떻게 소통하는가?
성스러운 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또 다른 질문
이 책을 통해 비판적으로 사유하기
시각적 요약
종교의 탐구
비교도표 작성하기
이 책의 중요한 주분들
Chapter 02 종교를 말한다
스틸러국이라고 할까 스틸러교회라고 할까?
스틸러국도 일종의 종교라고 할 수 있을까?
종교의 특징
종교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은 왜 그렇게 어려운가
스틸러국
세계종교를 탐구하는 데 동원할 전략
중요한 질문 하나: 종교는 진리인가 거짓인가?
진리란 무엇인가?
진리가 여러 가지 있을 수도 있는가?
다시 또 스틸러국으로 돌아가자면
시각적 요약
복습
Chapter 03 힌두교: 영원한 원리
성스러운 장소 힌두교
신은 있는가?
다르마
경전과 전통
브라흐만: 모든 신성의 원천
힌두교의 세 주신
주요 신들
바위, 강 그리고 동물들
인간의 의미는 무엇인가?
카스트제도
인간은 브라흐만에서 멀어졌다
다르마와 카르마
해탈: 윤회의 사슬을 끊다
복습
Chapter 04 힌두교: 영원한 원리와 삶
인간은 성스러움과 어떻게 소통하는가?
실천의 길: 공희, 청정, 의례
봉헌의 길: 박티
지혜의 길
성스러운 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종교와 가정
힌두교의 생사관
사나타나 다르마와 카스트제도
결론
시각적 요약
복습
Chapter 05 불교: 깨달음의 길
신은 있는가?
없다, 있다, 그리고 아마도……
붓다의 생애
불교의 기초교리
인간은 의미는 무엇인가?
팔정도
테라바다 불교와 대승불교의 인간관
복습
Chapter 06 불교: 세상을 깨우치기
인간은 성스러움과 어떻게 소통하는가?
붓다에 귀의
다르마에 귀의
성스러운 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수도원 생활
출가와 재가: 티베트 불교
서구의 불교: 출가 없는 불교
결론
시각적 요약
복습
Chapter 07 동아시아 종교: 영원한 도
신은 있는가?
도, 기, 음양
역경
유교, 도교, 불교: 동아시아의 종교습합
동아시아 불교
인간의 의미는 무엇인가?
유교의 인관관
도교의 인관관
복습
Chapter 08 동아시아 종교: 우주의 조화
인간은 성스러움과 어떻게 소통하는가?
공자숭배
기를 통해 도와 소통
성스러운 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유교
도교
동아시아 불교전통의 종교집단
결론
시각적 요약
복습
Chapter 09 유대교: 하느님을 선택하는 선택된 민족
유대교는 무엇인가?
신은 있는가?
신의 증거
신의 정의
하느님의 이름
하느님은 어떻게 인간과 소통하는가
인간의 의미는 무엇인가
태초에
인간의 조건: 아브라함, 이삭 그리고 선택된 민족이 된다는 것
계명
역사와 의미: 죄와 구원의 순환
복습
Chapter 10 유대교: 이스라엘과 디아스포라
인간은 성스러움과 어떻게 소통하는가?
기도
계명 지키기:음식
신비주의 유대교와 카발라
성스러운 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달력과 삶의 주기에 따른 의례들
미국 유대교의 교파들
현대 세계의 유대교
결론
시각적 요약
복습
Chapter 11 기독교: 하느님이자 인간인 메시아
신은 있는가?
메시아: 예수 그리스도
초기 기독교 교회의 하느님 추구하기
성 삼위일체와 관련된 문제
인간은 의미는 무엇인가?
기독교 고백들
인간이 죽으면 무슨 일이 생기는가? 기독교의 천국과 지옥에 대한 관념
복습
Chapter 12 기독교: 영적인 친교와 공동체
인간은 성스러움과 어떻게 소통하는가?
이름에 무엇이 나타나는가? 교회들, 교파들 그리고 공동체들 성만찬(성체 성사): 하느님과 교류하는 매우 오래된 기독교의 형식
기도: 개인의 그리고 공동체의 성스러움과의 상호작용
성스러움과의 상호작용의 형식으로 묵상과 고요함
하느님과 직접적인 연결 찾기: 카리스마파 운동
성스러운 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수도원 제도
달력, 의례 그리고 공동체 행사
공동 예배와 정체성
세계의 기독교인들
결론
시각적 요약
복습
Chapter 13 이슬람교: 순종과 신앙
신은 있는가?
“영광스러운 쿠란”
하느님과 카바
이슬람교의 하느님 이해하기
인간의 의미는 무엇인가?
무함마드의 전기
무함마드 사망 이후의 이슬람교
이슬람교의 여성들
시라, 수나 그리고 하디스
인간이 죽은 후에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복습
Chapter 14 이슬람교: 기둥들과 움마 공동체
인간은 성스러움과 어떻게 소통하는가?
사하다: 하느님에 대한 신앙을 증언하고 고백하기
기도를 통해 신과 소통하기: 이슬람교의 두 번째 기둥
음식과 금식을 통해서 하느님과 소통하기: 이슬람교의 세 번째 기둥
수피즘: 성스러움과 신비주의적인 상호작용
성스러운 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가난한 사람들에게 기부하기: 이슬람교 네 번째 기둥
하지: 이슬람교의 다섯 번째 기둥
현대 세계의 지하드?
결론
시각적 요약
복습
Chapter 15 토착종교: 우리 주변에 있는 성스러운 세계
신은 있는가?
인간의 의미는 무엇인가?
인간은 성스러움과 어떻게 소통하는가? 성스러운 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성스러운 말
말에서 발걸음으로: 환간 탐색
발걸음의 의례가 되다: 태양춤
아메리카 인디언의 영서이 기독교 영성을 만나다: 하느님의 붉은가 아니면 하얀가?
땅의 성스러운 결속을 깨뜨리기: 아메리카 원주민들과 미국 정부
토착적인 세계 종교들에 대해 생각하기
결론
시각적 요약
복습
Chapter 16 신종교들: 성스러움을 향한 탐색
신종교운동 정의하기
신은 있는가?
기독교를 위한 새로운 길: 통일교 운동
위커와 뉴에이지: 현대를 위한 고대 주술
인간의 의미는 무엇인가?
통일교
인간은 성스러움과 어떻게 소통하는가?
통일교
위커와 뉴에이지
성스러운 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통일교
위커와 뉴에이지
뉴에이지 내에서의 공동체와 유명 인사
결론: 신종교운동에 대해 생각하기
시각적 요약
복습
부록A
용어사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