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제1장. 문제의 제기
Ⅰ. 머리말
Ⅱ. 원삼국시대 코기의 연구사
1. 토기 "질(質)"의 분류를 통한 유형화
2. 와질토기론의 제안
3. 와질토기론의 본질
4. 와질토기론을 넘어서
Ⅲ. 이론적 논의의 관제와 방향
1. 제작기술의 변화와 지역차: 기술혁신의 시ㆍ공적 과정
2. 신식와질토기의 등장: 토기위세품의 출현
3. 토기유물군의 교체: 생산체계의 변동
Ⅳ. 맺음말

제2장. 이론적 배경
Ⅰ. 머리말
Ⅱ. 유물, 기술, 그리고 공정
1. 유물과 기술
2. 공정과 물질적인 변환
3. 토기제작의 행위요소와 공정
Ⅲ. 작업연쇄의 개념을 통한 토기제작의 기술혁신 연구
1. 기술 그 자체의 연구
2. 토기민족지고고학의 교훈
3. 전파론과 역사적 상황론의 극복
4. 원삼국시대 기술혁신의 과정에 대한 설명
Ⅳ. 생산체계의 유형과 변동
1. 생산체계의 분류
2. 고고학적으로 본 생산의 전문화
3. 원삼국시대 토기생산체계의 유형
4. 도질토기 등장의 의미
Ⅴ. 맺음말

제3장. 원삼국시대 영남지방의 토기자료와 편년
Ⅰ. 머리말
Ⅱ. 토기자료의 성격과 편년의 전제
1. 자료의 분포
2. 기존 편년연구에 대한 검토
3. 변화와 차원
4. 편년의 기본구도
Ⅲ. 목관묘시기의 편년
1. 장경호의 분류와 배열
2. 주머니호의 분류와 배열
3. 옹형토기(甕形土器)의 분류와 배열
Ⅳ. 목곽묘시기(木槨墓時期)의 토기편년
1. 유개대부광구호(有蓋臺附廣口壺)의 분류와 배열
2. 대부직구호(臺附直口壺)의 분류와 배열
3. 노형토기(爐形土器)의 분류와 배열
4. 첨저옹(尖底甕)의 분류와 배열
Ⅴ. 연대 및 단계별 토기유물군의 특징
1. 연대비정
2. 고식와질토기와 적색연질토기 출현
3. 신식와질토기의 등장
4. 타 지역 원삼국시대 편년과의 조율
Ⅵ. 맺음말

제4장. 동북아 제 지역 신제도기술의 확산과 수용
Ⅰ. 머리말
Ⅱ. 동북아 지역-간 상호작용과 기술혁신의 과정
1. 철기문화의 확산과 수용의 역사
2. 기술혁신에 대한 접근의 관점
Ⅲ. 동북아 제 지역 토기제작의 기술혁신
1. 요하 이동과 서북한의 타날문토기
2. 중부지방 타날기법의 전승과 일상토기의 생산
3. 진변한지역 와질토기와 도질토기의 기술혁신
Ⅳ. 맺음말

제5장. 기술혁신의 조건과 과정
Ⅰ. 머리말
Ⅱ. 도기와 자기의 기술혁신
1. 자기발생의 기술적 조건
2. 기술혁신: 생산체계의 형성과 교체
Ⅲ. 성형기술의 발전
1. 회전법과 타날법
2. 회전법의 발전
3. 구형동체의 제작
Ⅳ.기술혁신과 생산체계의 발전
1. 신기술의 수용
2. 제작자의 선택과 신기술의 확산
3. 와질토기 생산체계의 발전
4. 도질토기의 기술혁신
Ⅴ. 맺음말

제6장. 원저호의 기술혁신과 생산체계의 재편
Ⅰ. 머리말
Ⅱ. 왜 원저호인가
Ⅲ. 타날문단경호 제작기술체계의 분석
1. 타날문의 분류와 계통
2. 타날행위의 분석
3. 회전과 타날의 결합
Ⅳ. 원저호 제작의 기술전통
1. 원저호 제작전통의 분류
2. 마연법 전통
3. 고식와질토기 승문타날 전통
4. 신식와질토기 격자-의사승문타날 전통
5. 도질토기 원저호 제작전통
Ⅴ. 4세기의 기술혁신과 생산체계의 통합
1. 경주(慶州)지역
2. 함안(咸安)지역
3. 김해(金海)지역
Ⅵ. 맺음말

제7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홍차로 시작된) 영국 왕실 도자기 이야기 (홍차로 시작된) 영국 왕실 도자기 이야기 2021 / 지음: Cha tea 紅茶敎室 / 한국티소믈리에연구원
(자연의 그릇) 옹기 : 한반도 옹기를 찾아 떠나는 고성광의 문화여행 (자연의 그릇) 옹기 : 한반도 옹기를 찾아 떠나는 고성광의 문화여행 2012 / 고성광 지음 / 토담미디어
(자연의 그릇) 옹기 : 한반도 옹기를 찾아 떠나는 고성광의 문화여행 (자연의 그릇) 옹기 : 한반도 옹기를 찾아 떠나는 고성광의 문화여행 2012 / 고성광 지음 / 토담미디어
한눈에 보는 제와 한눈에 보는 제와 2018 / 지음: 김성구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요리, 그릇으로 살아나다 요리, 그릇으로 살아나다 2009 / 박영봉 지음 / 진명출판사
요리, 그릇으로 살아나다 요리, 그릇으로 살아나다 2009 / 박영봉 지음 / 진명출판사
우리 옛 도자기의 아름다움 우리 옛 도자기의 아름다움 2007 / 윤용이 지음 / 돌베개
토기제작의 技術革新과 生産體系  : 원삼국시대 영남지역의 토기유물군과 그 변화에 대한 해석 토기제작의 技術革新과 生産體系 : 원삼국시대 영남지역의 토기유물군과 그 변화에 대한 해석 2014 / 李盛周 著 / 학연문화사
흙으로 빚은 순박함, 우리 옹기 : 전통과 현대를 잇는 도예가 조정현의 옹기 이야기 흙으로 빚은 순박함, 우리 옹기 : 전통과 현대를 잇는 도예가 조정현의 옹기 이야기 2023 / 엮음: 이윤경 / 청아출판사
흙으로 빚은 순박함, 우리 옹기 : 전통과 현대를 잇는 도예가 조정현의 옹기 이야기 흙으로 빚은 순박함, 우리 옹기 : 전통과 현대를 잇는 도예가 조정현의 옹기 이야기 2023 / 엮음: 이윤경 / 청아출판사
토기  : 내 마음의 그릇 토기 : 내 마음의 그릇 2018 / 지음: 이재열 / 주류성
옹기와의 대화 옹기와의 대화 1998 / 정병락 지음 / 동광출판사
옹기 옹기 1995 / 정양모 ; 이훈석 ; 정명호 공저 ; 옹기문화가족 사진 / 대원사
(클레이로 만드는)인테리어 소품 (클레이로 만드는)인테리어 소품 2007 / 권명희 ; 이윤정 [공]지음 / 영진미디어
(유아 촉감놀이부터 초등 방과후까지 책임지는) 세상에서 제일 귀여운 클레이 대백과 (유아 촉감놀이부터 초등 방과후까지 책임지는) 세상에서 제일 귀여운 클레이 대백과 2019 / 지음: 봄다방 김민정 / 슬로래빗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토기 : 내 마음의 그릇 토기 : 내 마음의 그릇 2018 / 지음: 이재열 / 주류성
(와당으로 본) 한국 고대사의 쟁점들 (와당으로 본) 한국 고대사의 쟁점들 2016 / 지음: 유창종 / 景仁文化社
Korean ceramics  : the beauty of natural forms Korean ceramics : the beauty of natural forms 2012 / Korea Foundation / Seoul Selection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