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해제
새로 발견된 손암 정약전의 시문집에 대하여
제1부 시
고기잡이 등불을 두보 시의 운을 짚어서 漁火拈杜韻
장마와 안개 霖霧截句
일본 표류선을 두보 시에 차운하여 2수 日本漂舶次杜韻 二首
가을장마 3수 秋霖 三首
뽕나무를 운으로 불러서 桑木呼韻
길쌈등불 績火
박생과 헤어지며 주다 3수 贈別朴生 三首
비온 후 새벽에 일어나서 雨後曉起
초 열흘 밤 계고재에 노닐며 2수 初十夜遊稽古齋 二首
저녁에 조암에서 노닐며 2수 晩遊鰷岩 二首
추석날 계고선생과 사포 길가에 노닐며 두시의 운을 뽑아서 仲秋同稽古先生遊沙浦路上拈杜韻
사포에 몇 명이 모여 두보의 시에 차운하다 沙浦小集次杜韻
사포선생 김각에게 주다 贈沙浦先生金珏
심포 장노인에게 주다 贈深浦張老人
계고의 증별시에 받들어 답하다 奉和稽古贈別之韻
계고재에 보내는 편지 簡稽古齋
일출 日出
갈매기 鷗
파려경 2수 玻瓈鏡 二首
계고재에 보내는 편지 簡稽古齋
계고재에게 화답하다 酬.稽古齋
아이들이 새벽에 일어나 지은 시에 차운하다 次兒輩晨起韻
새해 첫날 계고재에게 화답하다 元日和稽古齋
3월 3일 계고재와 소사미에서 노닐다가 꽃을 보고 차운하다 三月三日同稽古齋遊小沙尾看花次韻
소사미 술회 小沙尾述懷
계고재와 함께 북주를 건너며 同稽古齋渡北洲
장창대에게 주다 贈張昌大
김사대에게 주다 贈金四大
초 이레 귀로에 입으로 불러 짓다 初七日歸路口號
장창대에게 부치다 寄張昌大
미용 아우의 시에 차운하여 화답하다 2수 次韻和美庸弟
제2부 산문
글 뒤에 붙이다
송정사의
영인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