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간중심의 도시정책을 기반으로 하고 ‘도시환경디자인’을 키워드로 설명한다. 도시 거주공간의 바람직한 상, 역사문화의 존중을 위한 의식변혁, 공공공간의 디자인, 나아가서는 ‘인간중심의 도시환경디자인’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목차
저자 서문 - 본서의 목적
역자 서문
서설 - 인간환경도시를 향한 길
제1장 근대도시계획에서 도시환경디자인으로
제1절 근대도시가 목표로 해온 것
제2절 1960~1970년대 유럽과 미국의 도시재생운동
제3절 뉴어버니즘 운동과 타운매니지먼트
제4절 일본 도시 만들기의 재검증
제2장 서양 도시에서 보이는 거주기능과 도시재생
제1절 영국의 역사지구 재생
제2절 독일의 도시재생
제3절 다른 유럽 나라들의 도시재생
제4절 수변공간의 거주기능 창출
제3장 환경의 시대-저탄소화 사회의 도시 만들기
제1절 공공교통·자전거도로의 부활
제2절 LRT·버스의 ‘역’
제3절 철도의 재건, 역사 디자인
제4장 도시의 활성화와 보행자 공간
제1절 도심의 보행자 공간
제2절 거주지역의 보행자 우선사상
제3절 오픈카페 운동 - 거리활용의 실천
제5장 수변공간의 회복 - 도시의 안식처
제1절 수변공간 재생에 대한 기대
제2절 하천·운하의 친수공간 정비
제3절 항만지구의 재생
제6장 도시의 그린-랜드스케이프
제1절 도시재생을 위한 그린, 랜드스케이프
제2절 도시의 공지에 그린과 광장을
제3절 녹지가 도시를 변화시킨다
제7장 옛것을 소중히 생각하는 마을 만들기
제1절 역사를 되살리는 마을 만들기 시대
제2절 건물의 보존, 수복, 컨버전
제3절 역사적 거리의 보존, 수복
제4절 산업유산의 보존과 활용
제8장 도시의 매력 만들기 - 생활공간의 디자인 프로듀스
제1절 도시환경의 연출
제2절 걷고 싶은 거리형성을 향하여
제3절 도시의 매력 만들기를 위한 시스템
맺음말
인용문헌·참고문헌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