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프롤로그
서론: 오직 철학적 대화로!
제1부 자아정체성에 기초한 철학상담
01 철학상담이란?
철학상담의 정의
철학적 대화: 비판적 사고와 창조적 해석
1 비판적 사고를 구현하는 철학적 대화
2 창조적 해석을 구현하는 철학적 대화
철학자와 내담자의 관계: 철학실천의 동반자
02 철학상담의 정신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의 정신
철학상담은 응용윤리가 아니다: 원리의 적용이 아니다
치료가 아닌 철학적 대화의 가치
03 철학상담의 정체성: 무엇이 상담을 철학적으로 만드는가?
철학적 성찰과 철학적 대화
실천적 진리로 사용하는 철학적 자산
자유 공간에서 철학적 대화하기
04 자아 개념과 정체성 모델
개별적 자아론과 자아정체성
자아정체성 모델: 중심과 주변 모델
왜 자아정체성 기반 철학상담인가?
05 자아정체성 기반 철학상담의 정신과 방법
정체성 기반 철학상담의 정신: 자신의 길 찾기
정체성 기반 철학상담의 방법: 네 단계
1 자유공간에서 대화하기: 말하고 듣기
2 자아정체성 탐색의 물음들: 자기 이해
3 자아정체성 안에서 문제 조망: 문제 상황의 이해
4 자신의 철학으로 살아가기
자아정체성 탐색의 대화법과 저울 모델: 추상과 역방향 추상
06 정체성의 정치학: 사회구조와 문화가치
정체성의 정치학과 여성 정체성의 문제
정체성의 정치학과 여성 감정의 문제: 분노와 우울
자아정체성에 기초한 여성주의 철학상담의 가능성
제2부 자아정체성 기반 철학상담의 사례
07 철학상담의 사례를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
08 가영의 사례: 삶의 의미, 갈등과 딜레마 속에서 파편화된 삶
첫 만남: 상담의 목표와 철학상담을 찾은 이유
정체성 맵을 통한 가치관 확인
직장에서의 갈등 문제: 남성 중심의 조직과 사회구조의 문제
여성성의 딜레마
가치관의 검토 및 변화 과정 인식
대인관계에서 발생하는 가치관의 갈등 재조명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사고실험
가영의 편지: 상담을 돌아보며
09 미연의 사례: 꿈의 메시지, 삶의 활기를 찾고 싶은 소망
꿈의 철학적 대화: 진실을 바라보라는 꿈의 메시지
미연의 문제
자신의 고통을 외면하는 엄마
‘삶의 활기를 찾고 싶어요!’
부모의 뜻대로 살 것인가, 내 의지대로 살 것인가
내 길을 가기 위한 준비
10 수영의 사례: 자기 소신, 자존감과 자존심 사이에서
정체성 맵과 철학상담의 목표
수영의 고민, 그리고 딜레마의 해소
자기 소신을 지킨다는 것
자존심과 자존감의 문제: 심층적 해결
가치관 사고실험: 표상의 두 가지 해석
상담을 마무리하면서: 수영의 편지
11 민서의 사례: 진로문제, 소망과 의무 사이에서 혼란을 느낄 때
민서의 삶의 이야기
민서의 고민: 하고 싶은 것과 해야 하는 것 사이에서의 갈등
자신의 소망이 삶의 장애로 느껴질 때
단 하나의 질문의 힘
단상
12 정숙의 사례: 삶의 열정, 자신감 상실과 분노의 감정
정숙과 그녀의 가족들
정숙의 문제와 고민
‘삶의 열정이 없는 것 같아요!’
삶의 의미와 영원회귀 사고실험
분노의 감정 이해하기
남편과의 대화방식
삶의 균형: 가족의 가치와 사회봉사의 가치
상담을 마치면서
결론: 철학실천의 시대적 요청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