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집트 천문학과 신전, 신화를 하나로 묶어서 분석해낸 고대천문학 분야의 저서. 수많은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신전들의 방향이 기본적으로 이집트 지역의 두 지평선, 즉 해가 떠오르는 지평선과 해가 지는 지평선을 향해 있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목차
머리말
1장 태양과 새벽의 숭배 2장 이집트 천문학의 최초의 빛 3장 이집트 판테온의 천문학적 바탕 4장 두 개의 지평선 5장 한 해 동안 태양신이 다니는 길 6장 호르셰수들의 숭배의식 7장 신전의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 8장 이집트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태양 신전들 9장 다른 곳에 있는 유사한 신전들 10장 카르나크에 있는 아멘라의 태양 신전 11장 카르나크에 있는 아멘라 신전의 연대 12장 별들이 뜨고 지는 현상 13장 이집트의 하늘: 덴데라의 황도대 벽화 14장 주극성들과 호루스의 신화 15장 별들을 향해 있는 신전들 16장 별 신전에 대한 진척된 주장들 17장 신전 건축물에 남아 있는 명문(銘文)들 18장 카르나크에 있는 별 신전들 19장 별들의 인격화: 덴데라에 있는 이시스 신전 20장 별들의 인격화(보론): 덴데라에 있는 하토르 신전 21장 별 제의(祭儀)들 22장 별 제의(보론): 아멘트와 콘스 23장 이집트의 역년(曆年)과 나일 강 24장 360일로 이루어진 한 해와 365일로 이루어진 한 해 25장 모호한 역년과 시리우스 역년 26장 소티스 주기와 활용법 27장 이집트 역법과 역법의 개정 28장 고정된 역년과 축제의 역법들 29장 이시스와 오시리스 신화 30장 신전의 별들 31장 안누와 테베에서의 태양 숭배의 역사 32장 초창기 신전들과 대(大) 피라미드 건립자들 33장 남쪽 별과 북쪽 별을 향한 제의의 차이 34장 이집트 천문학의 기원: 북부 학파 35장 이집트 천문학의 기원(보론) : 테베 학파 36장 북쪽 종족과 남쪽 종족에 대한 보편적인 결론 37장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의 황도 별자리들 38장 이집트가 그리스의 신전 방향에 미친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