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부 건강심리학 입문
제1장 건강심리학이란 무엇인가
건강심리학의 정의
정신과 신체의 관계: 간략한 역사
건강심리학에서의 심리사회생물학적 모델
왜 건강심리학 분야가 필요한가
왜 건강심리 훈련이 필요한가
제2장 신체의 체계
신경계
내분비계
심혈관계
호흡계
소화기 계통과 음식의 대사
신장계
생식계와 유전의 기초
면역계
제2부 건강 관련 행동과 1차 예방
제3장 건강 관련 행동
건강 증진: 개요
건강 관련 행동
건강 관련 습관의 개선
건강 관련 행동의 개선에 대한 인지행동 접근법
행동 변화의 범이론적 모델
사회공학을 통한 건강 관련 행동의 개선
건강 관련 습관의 개선을 위한 장소
제4장 건강과 관련된 특정 행동
운동
사고 예방
암과 관련된 행동 및 습관
건강한 식단의 개발
체중 조절과 비만
섭식장애
수면
휴식, 재충전, 여가 활동
제5장 건강 저해 행동: 알코올 중독과 흡연
건강 저해 행동의 특징
물질 의존은 무엇인가
알코올 중독과 문제 음주
흡연
제3부 스트레스와 대처
제6장 스트레스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스트레스 연구에 대한 이론적 공헌
무엇이 스트레스 상황을 초래하는가
스트레스는 어떤 방식으로 연구되는가
만성 스트레스의 원인
제7장 스트레스 경험의 조절자
스트레스 대처하기
대처와 외적 자원
대처의 결과
사회적 지지
대처 개입
제4부 치료 상황에서의 환자
제8장 의료 서비스 이용하기
증상의 인식과 해석
누가 공공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가
의료 서비스의 남용
제9장 환자-제공자 관계
의료 서비스 제공자란 누구인가
환자-제공자 간 의사소통의 특성
부실한 환자-제공자 간 의사소통의 결과
환자-제공자 간 의사소통의 증진 및 불이행 감소
병원 상황에서의 환자
병원 상황에서 정보를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
입원한 아동
제10장 고통과 불편함의 관리
통증의 중요성
통증의 포착하기 힘든 본성
통증관리의 임상적 문제들
통증 조절 기법
만성 통증의 관리: 통증관리 프로그램들
위약의 치료적 효과
제5부 만성적 불치병의 관리
제11장 만성질환의 관리
삶의 질
만성질환에 대한 감정적 반응
만성질환에 관한 개인적 문제
만성질환에 대한 대처
만성질환의 공동관리
심리적 개입과 만성질환
제12장 말기질환과 진행성 질환에서의 심리적 이슈
삶과 죽음
진행성 질환에서의 심리적 이슈
죽음에 적응하는 데 단계가 있는가
말기질환(불치병)의 심리적 관리
말기질환(불치병) 병원 간호의 대안
생존자 문제
제13장 심장질환, 고혈압, 뇌졸중, 그리고 당뇨병
관상동맥 심장질환
고혈압
뇌졸중
당뇨병
제14장 정신신경면역학, AIDS, 암, 그리고 관절염
정신신경면역학
AIDS
암
관절염
제6부 미래를 향하여
제15장 건강심리학: 미래의 도전
건강 증진
스트레스 관리
건강관리 서비스
중병관리
건강과 건강심리학에서의 추세
건강심리학자 되기
용어설명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