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한국의 진보적 성장 담론: 현주소와 비판 • 72 (1) 한국적 특수성을 반영한 ‘사회적 시장경제’_72 대타협에 의한 성장: 장하준의 재벌을 활용하는 복지국가_73/ 복선형 제도 클러스터_74/ 생산적 복지: 제3의 길_76 (2) 동반성장론_78 (3) 임금주도 성장론_80
4. 진보적 성장 담론에 대한 함의 • 83 (1) 비판적 검토_85 북구형 경제체제로의 이행 가능성_85/ 시장과 제도의 조화_90/ 성장정책인가 안정화정책인가?_92 (2) 개선에 관한 함의_95 복지지출의 우선 순위_95/ 고용 중심의 복지정책_99/ 함의_104
제4장 진보적 성장전략과 산업정책
1. 진보적 성장과 산업정책 • 109 2. 한국의 경제발전과 산업정책 • 114 (1) 한국의 구조고도화와 제 1, 2 산업정책_114 ‘추격’과 산업정책_114/ 제 1 산업정책: HCI Drive_118/ 제 2 산업정책: ICT Drive_120/ 다른 정부, 같은 산업정책_122 (2) 동태적 불균형 성장전략과 제 3 산업정책 구상_125 오해와 미완의 불균형 성장전략_125/ 공동체 목표와 동태적 불균형 성장전략_128/ 제 3 산업정책_131
제5장 제 3 산업정책 구상: 사회적 산업의 육성과 한반도 산업협력계획
1. 제 3 산업정책의 기본구상 • 137 제 3 산업정책의 첫째 요소: 사회적 산업의 육성_140/ 제 3 산업정책의 둘째 요소: 남북한 산업협력_141 2. 제 3 산업정책의 세부 목표 • 142 (1) 사회적 산업의 육성_144 (2) 한반도 산업협력과 중소기업 고도화_151 3. 제 3 산업정책의 목표와 정책수단 • 160 (1) 사회적 산업의 생산 확대_162 (2) 한반도 산업협력계획(Korea Industrial Cooperation Plan)을 통한 중소기업 고도화_167 (3) 제 3 산업정책의 제도적 지원_171 수요기반의 확충_171/ 예산의 재편_172/ 추진체계 _173/ 남북한 산업협력 재원 확보_174/ 인력양성_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