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을 내면서: 첫 책을 내며, 초심을 다시 새긴다
제1부 방정환의 삶과 문학의 재인식
1장 한국 아동문학의 문제적 범주, 방정환
1. 새롭게 읽는 방정환
2. 기존의 방정환 읽기 방식
3. 연구 부진 요인과 연구 방향
2장 방정환의 생애
1. ‘봉상시’와 ‘소년입지회’
2. 『신청년』과 청년 시절의 문화운동
3. 『어린이』와 색동회 시절의 아동문화운동
3장 방정환의 사상
1. 개조주의와 아동애호사상
2. 천도교사회주의
3. 아동관과 문학관
1) 동심천사주의: 인내천 사상과 일본 동심주의의 결합
2) ‘민중=대중’문학
4장 방정환의 아동문학
1. 외국 동화 번역·번안
1) ‘네이션’을 상상한 번역: 『사랑의 선물』
2) 학대 받는 조선 어린이의 현실과 「석냥파리 소녀」
3) 이솝 우화: ‘교훈담’에서 ‘재미있는 이야기’로
2. 옛이야기 재화(再話)
1) ‘전래동화’, 근대 아동문학으로 편입·재구성된 옛이야기
2) 실연(實演)을 전제로 한 근대 동화극
3) 웃음의 미학: 감성 해방과 즐거움을 추구하는 아동문학
3. 창작
1) 동화: 이야기성이 두드러진 서술 구조
2) 소년소설: 고난 극복의 소년상
3) 동요: 민족적 비애와 애상성
5장 방정환의 문학사적 위치
제2부 방정환과 근대 아동문학의 자리
방정환 연구의 새로운 출발점: 이상금의 『사랑의 선물』(한림출판사, 2005)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사를 재구성하는 도전적 밑그림: 원종찬의 『아동문학과 비평정신』(창작과비평사, 2001)을 중심으로
한국 근대아동문단 형성의 ‘제도’: 『어린이』를 중심으로
1. 한국 근대아동문단의 기원을 보는 시각
2. 아동문단 형성의 ‘제도’로 본 소년회, 『어린이』, 색동회
3. 『어린이』: 전문작가의 장르 개척과 ‘소년문예가’의 배출
4. 1920년대 후반 아동문단의 분화: 『신소년』-『별나라』의 계급주의 아동문학
5. 아동문단의 새 지형도를 기대하며
방정환의 초기 번역소설과 동화 연구: 새로 찾은 필명 작품을 중심으로
1. 방정환 연구의 난점, 미확정 필명
2. ‘포영(泡影)’의 「맷돌틈의 犧牲」
3. ‘서몽(曙夢)’의 「XX鬼의 征伐」
4. 남은 과제: 필명 확인 연구의 필요성
새로 찾은 방정환 자료, 풀어야 할 과제들
1. 방정환 연구의 어려움
2. 새로 찾은 방정환 자료들
3. 방정환 연구의 과제
부록: 방정환의 강연회 및 동화회 일정
발굴자료
작품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