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3일부터 7일까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된 제9차 WTO각료회의는 타결되었다. 그러나 완전한 신뢰를 주기에는 부족하다. TPP, TTIP, RCEP 등 세계경제의 블록화는 WTO 의사결정 구조에도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목차
시작하면서
1부 01 쇠고기와 농업통상 02 WTO 출범 초기 농산물 분쟁 03 APEC 조기 자유화 04 미국산 쇠고기 수입 위생조건 협상 05 캐나다, 한국을 WTO에 제소 06 미국의 통상 압력과 슈퍼 301조 07 한미 간 식품안전 분쟁, 자몽과 배 08 미국 통상 정책의 기만성 09 대한민국 최초의 FTA 10 한미 FTA 11 쌀과 농업통상 12 한·EU FTA와 한미 패리티(parity)
2부 13 WTO와 농업 14 WTO 각료회의 15 WTO 협상을 주도하는 그룹들 16 농산물 관세와 보조금 감축 17 TPP와 RCEP 18 과학과 농업통상 19 농산물 수출 20 우리나라의 농산물 관세구조 21 정부조직과 통상 22 통상 협상에서 이해의 조정 23 양자협상과 다자협상 24 식량안보를 보는 시각
3부 25 주한미군용 농산물 검역 실시 26 제네바를 찾아온 사람들 27 외환 위기의 극복, GSM 102 28 '95~'97 수입 자유화 예시계획 29 생산자 단체의 독점수입권, 오렌지와 키위 30 APEC 국가 정상을 위한 선물, 나주 배(pears) 31 미국은 협상에 높은 사람을 끌어들인다 32 6개국 고위관료의 연명서신, 유기 가공식품 인증제도
마치면서
부록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마음 농사 짓기 : 농부 전희식의 나를 알아채는 시간2019 / 지음: 전희식 / 모시는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