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단위 글’과 주제화 1. 단위 글이란 무엇인가 (1) 단위 글의 구성 (2) 복수 주제문 (3) 주제문의 위치 2. 단위 글의 주제문 쓰기 (1) 주제문은 완전한 문장으로 구성하라 (2) 주제문은 ‘자기의 언어’로 구성하라 (3) 주제문에는 단일 개념을 사용하라 3. 뒷받침문장 쓰기 (1) 뒷받침문장의 조건 (2) 논설문의 뒷받침문장 쓰기 (3) 설명문의 뒷받침문장 쓰기 (4) 기사문의 뒷받침문장 쓰기 (5) 수필의 뒷받침문장 쓰기 4. 단위 글의 진화 준비 (1) 설명문의 진화 준비 (2) 논설문의 진화 준비
제3장 ‘짜임글’과 주제화 1. 단위 글에서 짜임글로 2. 짜임글의 구조 (1) 짜임글의 피라미드 구조 (2) 짜임글의 사슬 구조 (3) 짜임글과 문단의 차이 3. 짜임글의 주제화 (1) 주제어 분석 방식의 주제화 (2) 점층 방식의 주제화 4. 짜임글의 주제문 5. 짜임글의 주제화 요령 (1) 주제에 집중하라 (2) 주제어를 강조하라 (3) 양비론 또는 ‘물타기’를 하지 마라 (4) 제목을 내용과 일치시켜라 (5) 태도의 일관성을 갖춰라 6. 짜임글 쓰기 (1) 제목 만들기 (2) 들머리와 마무리 만들기 (3) 본문 얽기 (4) 소주제문 만들기 (5) 소주제를 만드는 일곱 가지 원칙 (6) 뒷받침문장을 나열하는 세 가지 원칙 7. 중간 제목 만들기 (1) 중간 제목의 설정과 제목 피라미드 (2) 제목 피라미드와 책의 차례 8. 주제화의 역설
제4장 글쓰기의 시작, 기록하는 글쓰기 1. 어떤 글을 쓸 것인가 2. 기록문 쓰기 (1) 기록문 쓰기는 글쓰기의 바탕 (2) 기록문의 열쇠는 이야기 구성 능력 (3) 기록문 쓰기에서 지켜야 할 점 (4) 기록문 쓰기의 중요한 열매 3. 기록문의 꽃, 개인사 쓰기 (1) 개인사란? (2) 개인사 쓰기 (3) 개인사 함께 쓰기
부록 ‘동그라미 글쓰기 프로그램’ 소개 인용 문헌
서가브라우징
열 문장 쓰는 법: 못 쓰는 사람에서 쓰는 사람으로2020 / 김정선 지음 / 유유
무엇이든 쓰게 된다 : 소설가 김중혁의 창작의 비밀2017 / 지은이: 김중혁 / 위즈덤하우스
(사이다 공식으로) 톡 쏘는 글쓰기 비법 : 업무 보고서 및 제안서, 보도자료, SNS 홍보글까지… 2021 / 김주리 지음 / HCbooks(힘찬북스)
삶은 언제 예술이 되는가2014 / 김형수 지음 / 아시아
(평생 돈 버는)비즈니스 글쓰기의 힘: 한 줄 쓰기부터 챗GPT로 소설까지2023 / 지음: 남궁용훈 / Ritec Contents:
글쓰기 잘하는 아이는 이렇게 시작합니다: 아이 스스로 글의 씨앗을 발견하는 1일 1글감 수업2022 / 남낙현 지음 / 청림라이프
(하루 10분의 기적)초등 패턴 글쓰기: 아이의 글머리가 5일 안에 완성된다!2020 / 남낙현 지음 / 청림Life:
글쓰기는 주제다 : 남영신의 주제 중심 글쓰기 수업2014 / 남영신 / 아카넷
당신의 자리에서 생각합니다: 다시 시작하는 말하기와 글쓰기 공부2020 / 노야 시게키 지음; 지비원 옮김 / 메멘토
글 잘 쓰는 법, 그딴 건 없지만: 카피라이터로 24년, 그럭저럭 터득한 글쓰기의 기본에 대하여2020 / 다나카 히로노부 지음; 박정임 옮김 / 인플루엔셜
내가 읽고 싶은 걸 쓰면 된다 : 단순하고 강력한 글쓰기 원칙 2024 / 지음: 다나카 히로노부 ; 옮김: 박정임 / 인플루엔셜
지루하면 죽는다 : 비밀이 많은 콘텐츠를 만들 것 2023 / 지음: 조나 레러 ; 옮김: 이은선 / 윌북
스토리텔링 바이블: 작가라면 알아야 할 이야기 창작 완벽 가이드2020 / 대니얼 조슈아 루빈 지음; 이한이 옮김 / 블랙피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