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한국전쟁기 남·북한의 점령정책에 대한 연구동향과 전망 / 한모니까
제1부 점령·통치
한국전쟁기 북한 점령하의 남한 인민위원회 선거 / 기광서
1. 머리말
2. 북한군의 남한 점령과 선거 준비
3. 인민위원회 선거의 실행
4. 선거의 특성과 자체 평가
5. 맺음말
한국정부와 유엔의 북한지역 점령정책 구상과 통치-타협과 현실의 괴리 / 양영조
1. 머리말
2. 북한 점령정책의 논의 과정
3. 북한 점령정책의 목표와 내용
4. 북한 점령정책의 시행과 현지주민의 반응
5. 맺음말-북한 점령정책의 성격
한국전쟁기 북한의 점령과 지방사회의 변화-경기도 시흥군의 사례 / 정병준
1. 머리말
2. 북한의 시흥점령과 인민위원회·노동당의 복구
3. 토지개혁의 실시: 북한체제의 뿌리 내리기
4. 지역사회의 여론과 보도연맹원의 활동
5. 맺음말
제2부 토지개혁
한국전쟁기 북한의 남한지역 토지개혁 / 기광서
1. 머리말
2. 남한 토지개혁의 밑그림
3. 조직적 준비와 실행
4. 토지개혁의 문제점 인식
5. 맺음말
한국전쟁기 북한의 점령지역 토지개혁-경기도 화성군 안용면 안녕리의 사례 / 오보경
1. 머리말
2. 안녕리 토지소유상황과 농업경영형태의 변동
3. 북한점령기 안녕리의 토지개혁
4. 안녕리 토지개혁의 실행 결과와 특징
5. 맺음말
제3부 동원
한국전쟁기 북한의 점령지역 동원정책과 ‘공화국 공민’ 만들기-경기도 시흥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정병준
1. 머리말
2. 북한의 점령지역 전쟁 동원정책
3. 북한의 ‘공화국 공민’ 만들기
4. 맺음말
북한의 남한 점령기 ‘의용군’ 동원과 운용-의용군명부·포로심문조서를 중심으로 / 정병준
1. 머리말
2. 북한 점령기 동원된 ‘의용군’의 규모
3. ‘의용군’ 동원의 방식과 지방에서의 동원 사례
4. 포로심문조서에 나타난 ‘의용군’ 동원과 운용
5. 맺음말
제4부 학살
북한의 남한 점령기 민간인 학살-한국정부와 미군(KWC) 조사기록의 비교를 중심으로 / 양영조
1. 머리말
2. 한국정부와 미군 전범조사단의 조사 과정
3. 한국정부와 미군 전범조사단의 조사 결과
4. 맺음말
‘봉기’와 ‘학살’의 간극-황해도 신천 사건 / 한모니까
1. 머리말
2. 신천 사건에 대한 남북한 통설 검토
3. 유엔군의 38선 북진과 신천의 ‘10·13’
4. 유엔군의 신천 점령기 치안구조와 학살(1950.10.17~12.7)
5. 신천치안대의 ‘서해반공유격대’ 개편과 북한의 신천 재점령(1950.12.8~1951.5)
인민군 후퇴기 북한 지역 학살 양상-한국전쟁범죄조사단 자료를 중심으로 / 황윤희
1. 머리말
2. 북한 관계 한국전쟁범죄조사단 자료의 특징
3. 북한 지역 학살 사건의 유형
4. 교화소·수용소 수감자 처형
5. 맺음말
제5부 포로
유엔군의 포로 정책 -‘석방’과 ‘송환’을 중심으로 / 김보영
1. 머리말
2. 포로송환원칙과 포로심사
3. 석방과 송환
4. 맺음말
한국전쟁기 중립국 선택 포로의 발생과 그 성격 / 이선우
1. 머리말
2. 송환거부 포로를 둘러싼 논쟁과 처리 과정
3. 중립국 선택 포로의 발생
4. 중립국 선택의 실체: 배경·과정·결과
5. 맺음말
제6부 유산
유엔군의 해상봉쇄·도서점령과 NLL / 김보영
1. 머리말
2. 유엔해군의 해상봉쇄와 도서점령작전
3. 유격대와 방첩대 활동
4. 휴전회담과 서해 5도 관할권
5. 맺음말
한국전쟁 이후 ‘수복지구(收復地區)’에서의 농지개혁법 적용 과정과 그 의미 / 한모니까
1. 머리말
2. 수복지구 농지 소유·경작권 문제 발생의 배경
3. 농지개혁법의 수복지구 적용을 둘러싼 논란과 귀결
4. 맺음말: 요약과 비교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