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프롤로그 | 개신교는 어떻게 성장했는가?
제1장 해방 전후 | 개신교, 압축성장의 기틀을 다지다
미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다
개신교가 뿌리내릴 수 있었던 힘
전쟁에서 이긴 나라의 종교
미국은 왜 개신교에 특혜를 주었나?
제2장 이승만 | “한국을 완전한 예수교 나라로 만들겠다”
목사로 불리는 ‘장로 대통령’
“우리 대통령은 신앙자다”
개신교 국가를 꿈꾸다
기독교방송과 극동방송
이승만의 개신교 특혜 정책
크리스마스, 개천절, 석가탄신일
개신교, 정치에 참여하다
개신교, 교육에 참여하다
월남한 북한의 개신교인들
개신교와 이승만의 몰락
천주교의 강력한 지지를 받은 장면
이승만의 천주교 탄압
천주교 정권의 등장
육비구 할복 사건
제3장 박정희 | 반공과 친미로 절묘하게 만난 개신교와 군사정권
주일학교 선생, 박정희
“각하! 이대로 지옥 가시겠습니까?”
‘주일 국가행사’가 부활하다
불교의 약진과 개신교의 쇠퇴
반공을 외치다
임마누엘 중대와 구국십자군
혁명 정부의 민간사절
전군 신자화 운동과 대형 집회
새마을운동과 새벽기도운동
하늘이 내려준 ‘성장 기회’
조찬공화국과 새벽기도운동
반독재민주화운동의 중심에 선 개신교
박정희 정권의 탄압과 목요기도회의 탄생
천주교의 저항과 3대 사건
진보 종교인의 탄생
제4장 전두환 | 당근과 채찍을 겸비한 ‘국풍 대통령’
불교에 귀의한 ‘천주교’ 대통령
국가가 종교를 통제하다
전두환을 위한 조찬기도회
작전명 ‘45계획’
대형 종교 집회의 홍수시대
‘선교를 전투처럼’
전두환이 교황 방문을 지원한 이유
난장판이 된 국풍81
‘5·18’과 종교계 저항운동
반공 지상주의를 깨다
양심법이냐, 실정법이냐?
“고문 없는 세상에서 살고 싶다”
제5장 노태우 | 개신교의 근간인 ‘친미’와 ‘반공’이 흔들리다
부처님 귀를 닮은 ‘불자 대통령’
직지사와 대통령
빅3 종교의 대리전
10원짜리 동전 불상 논란
노태우의 불심 달래기
평화통일운동을 싹틔운 개신교
종교인들의 방북
보수 개신교의 대변자, 한기총
한기총은 왜 탄생했는가?
제6장 김영삼 | 개신교를 휘어잡은 ‘장로 대통령’
3대를 이어온 ‘신앙 명가’
개신교의 ‘장로 대통령’ 만들기
개신교의 권력화
교회 성장의 아이콘으로 통하는 ‘감리교 4형제’
대형 교회의 문어발식 성장
“검정고시 일자가 부활절과 겹친다”
종교 차별 3대 사건
‘사건 공화국’과 청와대 불상
청와대 벼락 사건
기독교회관, 명동성당, 조계사
제7장 김대중 | 개신교와 정권의 밀월 관계가 깨지다
고난을 버틴 힘, 천주교
한 지붕 두 종교
대형 교회 비리 보도와 ‘잃어버린 10년’
햇볕정책과 반공
조갑제의 ‘기독교 궐기론’과 거리로 나선 목사들
‘지는’ KNCC, ‘뜨는’ 한기총
민중교회운동과 교회성장운동
국회조찬기도회, 정각회, 가톨릭의원신도회
‘불교계를 위한 10대 공약’
제8장 노무현 | 정권 최대 정적은 보수 개신교회
“종교란에 ‘방황’이라고 쓰겠다”
불화의 근원이 된 국가보안법과 사립학교법
개신교가 세운 대표적인 종합대학
사립학교법 논란의 기폭제가 된 ‘강의석 사건’
“반미 감정이 사라지게 하소서”
개신교는 왜 미국에 우호적인가?
개신교의 ‘정권 퇴진’ 운동
‘기독교 정당’이 등장하다
기독교 정당의 역사
제9장 이명박 | 압도적 표차로 다시 탄생한 ‘장로 대통령’
어머니의 새벽기도를 듣고 자라다
개신교의 이명박 선거운동
뉴라이트와 한기총의 대활약
이명박 장로 대통령론
개신교가 움직이면 집권한다!
‘개신교 코드 인사’ 논란
지도에 ‘사찰’이 없다
역차별을 주장하며 역공에 나선 개신교
권력의 정점에 선 개신교
세대 교체가 불러온 개신교의 변화
이승만, 김영삼, 이명박의 공통점
개신교의 이미지 추락과 교세 하락
제10장 박근혜 | 가장 종교적인 무교 대통령
천주교, 불교, 개신교를 섭렵하다
소리 높인 ‘불교’, 조용한 ‘개신교’
‘인수위원장’은 모두 개신교인이다?
무교인 박근혜의 개신교인 중용
종교인 과세에 반발하는 개신교
차별금지법 제정에 반대하는 개신교
기독신우회, 청불회, 청가회
군종제도의 변천사
교회의 파산 공포와 세습 논란
에필로그 | 종교의 미래를 위해
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