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진지한 화두를 던졌던 따돌림사회연구모임 교사들이 그 화두에 대한 응답으로 이 책을 냈다. 교사와 학생, 학부모들이 학교폭력과 관련해 자주 범하는 오류를 짚고, 피상적으로 알고 있던 상식을 비판한다.
목차
1부 교사의 목소리 01 교사가 나름의 경험을 믿고 지도하면 되지 않을까요? 02 따돌림 문제, 담임이 섣불리 나서지 않는 게 나은 것 같아요. 03 사소한 다툼마저 학교폭력으로 여기고 너무 예민하게 반응합니다. 04 학교폭력 문제에서 예방이 중요한 건 알겠는데 시간이 없어요. 05 아이 문제로 부모님과 상담해 보면 판박이처럼 똑같습니다. 06 왕따 당하는 애들도 문제가 있어 보여요. 07 교실에서 교사인 제가 왕따가 된 기분이에요. 애들이 왜 저를 만만하게 보죠? 08 상습적으로 폭력을 행사하는 아이, 진심으로 반성하지 않아요. 09 언니 같고 누나 같은 선생님이 되고 싶은데, 반 분위기가 하루도 조용할 날이 없습니다. 10 학기 초만 되면 아이들은 왜 그렇게 싸워 댈까요? 11 애들이 저보다 반장 말을 더 잘 들어요. 12 여자애들은 정말 속을 모르겠습니다. 13 도대체 왜 이렇게 애들이 담배를 많이 피워 댈까요? 그리고 왜 꼭 말보로를 피울까요? 14 애들이 입만 벌렸다 하면 욕입니다. 15 따돌림 당하는 아이가 괜찮다고 하는데 정말 그냥 가만둬도 될까요? 16 교사가 모두 학교폭력 전문가가 될 필요가 있나요? 17 학부모님들이 돈 문제로만 생각합니다.
2부 학부모의 목소리 01 우리 아이 물건이 자꾸 없어집니다. 02 우리 아이는 왜 자꾸 값비싼 브랜드만 사 달라고 할까요? 03 사소한 이유를 대면서 자꾸 학교에 가지 않으려고 합니다. 04 늘 맞고 들어오는 아이, 싸움이라도 가르쳐야 할까요? 05 우리 애는 왜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부모에게 말하지 않을까요? 06 나쁜 친구들과 어울리며 아이가 이상해졌어요. 07 이 지경이 될 때까지 담임선생님이 아무것도 몰랐다는 게 말이 되나요? 08 가해 학생들의 전학을 요구해도 들어주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09 반장이 청소 감독까지 해야 하나요? 10 우리 아이는 늘 당하면서 왜 싫다는 말을 못할까요? 11 우리 애가 그럴 애가 아닌데요. 12 공부를 잘하면 애들이 함부로 안 하지 않을까요? 13 아이를 대안 학교에 보내 보면 어떨까요? 14 대체 왜 이렇게 학교폭력이 심해지는 겁니까? 15 학교폭력 문제는 우리 때도 다 있었던 것 아닌가요? 16 선생님이 저희 아이를 너무 나쁘게 보시는 것 같아 억울합니다. 17 학교는 왜 이렇게 쉬쉬하며 감추려고만 할까요?
3부 학생의 목소리 01 서로 뒷담해 대는 반 애들이 너무 무서워요. 02 무슨 말만 하면 자꾸 저한테 쏴 붙이는 애 때문에 곤란해요. 03 반에서 자꾸 투명인간처럼 되는 것 같아요. 04 전 친구가 없어도 상관없어요. 친구가 꼭 필요한가요? 05 짜증나게 하는 애한테 쿨하지 못한 제가 이상한 건가요? 06 제가 싫다는데도 다들 별명을 부르며 자꾸 놀려요. 07 재수 없게 나대는 애, 버릇 좀 고쳐 주려고 그랬어요. 08 잘못은 똑같이 했는데 왜 저만 징계를 더 심하게 받아야 하나요? 09 학교폭력은 왜 중학교 때 가장 많이 일어날까요? 10 ‘학교폭력 예방 교육’ 대체 왜 하는 거예요? 너무 지루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