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학과 과학 = Literature and science in Korea. 2, 인종·마술·국가
발행연도 - 2014 / 황종연 엮음 ; 지은이: 김철 ; 이철호 ; 손유경 ; 차승기 ; 허병식 ; 조형래 ; 이학영 ; 김종욱 ; 이수형 ; 서희원 ; 김성연 ; 정종현 ; 신지영 ; 한민주 / 소명출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보존서고(일반)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28781
-
ISBN
9788956269764
-
형태
569 p. 24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일반문학론
책소개
한국 근대문학 텍스트에 들어있는 과학기술의 역사적.비판적 이해에 유용한 증언, 일화, 관념들을 살펴봄으로써 문학과 과학을 고찰한다. 1부 '과학과 그 타자', 2부 '과학 수용 이후의 한국문학', 3부 '픽션의 원천으로서의 과학 지식', 4부 '한국 과학 문화의 단면'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이 책을 펴내며:염상섭의 대위법
제1부 과학과 그 타자
제1장_ 김철:비천한 육체들은 어떻게 응수(應酬)하는가
산란(散亂)하는 제국의 인종학(人種學)
제2장_ 이철호:사라진 귀신들
이해조의 「화의 혈」과 김동리의 「무녀도」 재론
제3장_ 손유경:재생산 없는 ‘고향’의 유토피아
제4장_ 차승기:자본, 기술, 생명
흥남-미나마타[水俣] 또는 기업도시의 해방 전후
제2부 과학 수용 이후의 한국문학
제5장_ 허병식:한국 근대문학에 나타난 과학의 표상
방법으로서의 객관주의와 그 저항
제6장_ 조형래:두 ‘신문(新文)’, 과학 개념의 정착과 암면(暗面)으로의 소행(溯行)
신문계를 중심으로
제7장_ 이학영:김동인 소설에 나타난 복잡성의 인식 연구
제3부 픽션의 원천으로서의 과학 지식
제8장_ 김종욱:쥘 베른 소설의 한국 수용 과정
제9장_ 이수형:김동인 문학과 히스테리, 성적 상상
제10장_ 서희원:탁류 속의 나쁜 피
채만식의 병리학적 서사에 관한 시론
제4부 한국 과학 문화의 단면
제11장_ 김성연:“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
파브르 곤충기의 근대 초기 동아시아 수용과 근대 지식의 형성
제12장_ 정종현:과학과 내셔널리즘
‘해방 전후’ 과학(자)의 이동과 우장춘 서사의 과학 담론을 중심으로
제13장_ 신지영:과학이라는 인종주의와 복수의 지방화
박람회(1903, 1915, 1929)에 나타난 ‘적극적 수동성’과 ‘욕망을 동반한 거부’
제14장_ 한민주:마술을 부리는 과학
일제시기 아동과학잡지에 나타난 과학의 권위와 그 창출방식
필자소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