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언어-의사소통장애 교육에서 말-언어병리학 분야에 영향을 주고 있는 최신의 임상적.교육적.법적 변화를 담고 있다. 임상가들 간의 언어장애에 대한 기술 그리고 사정과 중재의 원칙 등 언어와 의사소통 발달의 기본적인 측면을 제시하고,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아동의 언어장애에 대한 실제적인 평가와 치료를 위해 임상적 요소들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그 적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목차
제1부 | 언어의 본질과 발달
제1장 언어의 본질과 그 장애
1. 의사소통, 구어, 언어
2. 언어의 구성요소
3. 언어 구성요소의 조화와 통합
4. 언어습득에 관한 입장
5. 언어장애에 대한 접근
6. 언어장애의 정의
요약
연구문제
참고문헌
제2장 언어발달
1. 언어발달 : 개관
2. 인지발달
3. 언어발달에서 환경의 역할
4. 영아와 유아의 초기 의사소통
5. 의미론의 발달
6. 화용론의 발달
7. 음운론의 발달
8. 취학 전 언어발달 : 개관
9. 취학 전 의미론의 발달
10. 취학 전 화용론의 발달
11. 발생적 문해력
12. 학령기 아동의 언어발달 : 개요
13. 학령기 아동의 의미론적 발달
14. 학령기 아동의 화용론적 발달
15. 상위언어 능력의 발달
요약
연구문제
참고문헌
제2부 | 언어장애의 유형별 특성, 사정 및 중재
제3장 조기 의사소통 사정 및 중재
1. 조기중재에서 언어치료사를 위한 미국의 정책 지침
2. 의사소통/언어 지체 위험에 처한 아동
3. 조기언어 사정과 중재
4. 유아 사장과 중재를 위한 조직체계
5. 사정과 중재의 적용 : 세 가지 사례
요약
연구문제
참고문헌
제4장 취학 전 언어장애 : 특성, 사정, 중재
1. 언어발달 지체
2. 취학 전 언어장애의 특징
3. 취학 전 언어장애의 평가
4. 취학 전 언어장애를 위한 중재
요약
연구문제
참고문헌
제5장 언어학습장애의 특성과 범위
1. 언어학습장애의 정의
2. 정의와 판별 : 교육정책
3. 언어학습장애의 구어와 메타언어적 특성
4. 구어와 학업적 언어 사이의 관계
요약
연구문제
참고문헌
제6장 정신지체/지적장애
1. 정신지체/지적장애의 정의
2. 출현율과 기능수준
3. 정신지체/지적장애의 원인
4. 관련 신경계 장애
5. 인지기능
6. 언어 및 의사소통 기술
7. 언어 및 의사소통 중재
요약
연구문제
참고문헌
제7장 자폐범주성장애 : 의사소통을 위한 차원
1. 병인론 : 구심성 언어장애
2. 행동적 특징
3. 언어의 구성요소
4. 치료의 쟁점과 전략
5. 가정훈련을 통한 의사소통 행동의 일반화
요약
연구문제
참고문헌
제8장 청각장애 아동
1. 창각장애의 유형, 분류 및 정도
2. 청각장애와 언어발달
3. 발견과 중재
4. 청각학적 사정
5. 청각학적 관리
6. 청각장애 아동 교육
요약
연구문제
참고문헌
제3부 | 언어중재 계획
제9장 취학 전 아동의 언어중재 계획
1. 언어중재란 무엇인가
2. 조기 언어중재에서 말-언어치료사의 역할
3. 언어중재에 대한 말-언어치료사의 책임
4. 언어중재의 준비를 분담하는 다른 사람들
5. 언어변화의 촉진
6. 최근의 중재 접근법
7. 다문화 가정의 장애아 중재
8. 일반화 촉진
9. 향후의 해결과제
요약
연구문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