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가 간의 정치 : 세계평화의 권력이론적 접근
발행연도 - 2014 / 원저: 한스 J. 모겐소 ; 개정: 케네스 W. 톰슨 ; W. 데이비드 클린턴 ; 번역: 이호재 ; 엄태암 / 김영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15990
-
ISBN
9788934965794
-
형태
736p. 22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외교, 국제관계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
>
정치 일반
책소개
정치학의 거장 한스 모겐소가 명쾌하게 설명해낸 국제 정치의 본질.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숨 가쁘게 전개되는 다양한 안보현안의 실체를 꿰뚫는 탁월한 통찰과 선구자적 혜안으로 세계대전 이후 미국 외교정책의 근간이 된 현실주의적 국제정치의 기틀을 확립했다.
목차
해제
머리말
서문
제1부 국제정치의 이론과 실제
제1장 국제정치의 현실주의 이론
정치적 현실주의의 여섯 가지 원칙
제2장 과학으로서의 국제정치학
1. 국제정치학의 이해
여러 가지 접근법
이해의 한계
2. 국제 평화 문제의 이해
제2부 권력 투쟁으로서의 국제정치
제3장 정치권력
1. 정치권력이란무엇인가?
국가 목표의 달성 수단
정치권력의 본질: 네 가지 차이
2. 정치권력의 경시
3. 정치권력 경시의 두 근원
19세기의 철학
미국의 경험
4. 평화학: 오늘날의 유토피아니즘
제4장 권력 투쟁: 현상유지정책
제5장 권력 투쟁: 제국주의
1. 제국주의가 아닌 것
2. 경제이론적 제국주의론
마르크스·자유주의·‘악마’제국주의론
이들 이론에 대한 비판
3. 제국주의의 여러 유형
제국주의의 세 가지 유인 조건
제국주의의 세 가지 목표
제국주의의 세 가지 수단
4. 제국주의의 간파와 대응책
정책 문제: 봉쇄, 유화, 공포
제국주의의 간파 문제
제6장 권력 투쟁: 권위정책
1. 외교적 의식
2. 군사력의 과시
3. 권위정책의 두 가지 목표
4. 잘못된 권위정책 세 가지
제7장 국제정치의 이데올로기적 요소
1. 정치이데올로기의 본질
2. 외교정책의 전형적 이데올로기 유형
현상유지 이데올로기
제국주의 이데올로기
이데올로기의 모호성
3. 판별의 문제
제3부 국가 권력
제8장 국력의 본질
1. 국력이란무엇인가
2. 근대 민족주의의 근원
민족주의의 쇠퇴: 명백하고 실질적인 현상
개인의 불안감과 사회 해체
제9장 국력의 요소
1. 지리적 요소
2. 자연자원
식량
천연자원
3. 공업능력
4. 군비
기술
리더십
군대의 양과 질
5. 인구
분포
추세
6. 국민성
국민성의 존재
러시아 국민성
국민성과 국력
7. 국민의 사기
국민 사기의 불안정성
사회와 정부의 질: 결정적 요소
8. 외교의 질
9. 정부의 질
자원과 정책 간의 균형 문제
자원 간의 균형 문제
국민의 지지 동원 문제
정부와 외교정책
제10장 국력의 평가
1. 국력 평가의 과제
2. 국력 평가의 전형적 오류
국력의 절대성
국력의 영구성
한 가지 국력 요소를 강조하는 잘못
제4부 국가 권력의 제한: 세력 균형
제11장 세력 균형
1. 사회적 평형
보편적 개념으로서의 세력 균형
국내정치의 세력 균형
2. 세력 균형의 두 유형
직접 대결
경쟁
한국과 세력 균형
제12장 세력 균형의 여러 방법
1. 분할·통치
2. 보상
3. 군비
4. 동맹
동맹의 일반적 성격
동맹 대 세계 지배
동맹 대 대항 동맹
5. 균형 ‘유지자’
제13장 세력 균형의 구조
1. 지배체제와 종속체제
2. 세력 균형의 구조적 변화
제14장 세력 균형의 평가
1. 세력 균형의 불확실성
2. 세력 균형의 비현실성
이데올로기의 세력 균형
3. 세력 균형의 부적합성
도덕적 일체감의 규제력
근대 국가체제의 도덕적 일체감
제5부 국가 권력의 제한: 국제도덕과 세계 여론
제15장 도덕, 관습, 법의 권력 억제
제16장 국제도덕
1. 인명보호
평시의 인명 보호
전시의 인명 보호
전쟁에 대한 도덕적 비난
국제도덕과 전면전
2. 보편적 도덕 대 민족주의적 보편주의
국제적 귀족 사회의 개인 윤리
국제도덕의 붕괴
국제 사회의 붕괴
국제주의에 대한 민족주의의 승리
민족주의의 변천
인권과 국제도덕
제17장 세계여론
1. 세계의 심리적 일체감
2. 기술적 통일의 모호성
3. 민족주의의 장벽
제6부 국가 권력의 제한
제18장 국제법의 주요 문제
1. 국제법의 일반 성격
2. 국제법의 입법 기능
분권적 성격
해석과 구속력
3. 국제법의 사법 기능
강제 관할권
국제 법원
사법적 판결의 효력
4. 국제법의 집행
분권적 성격
보장 조약
집단 안전 보장
제19장 주권
1. 주권의 일반적 성격
2. 주권 개념의 동의어: 독립, 평등, 만장일치
3. 주권이 아닌 것들
4. 주권의 상실
국제기구의 다수결 원칙
5. 주권은 분할될 수 있는가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3 |
30대 | 1 |
40대 | 0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1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1 |
2021년 | 0 |
2022년 | 1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