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포스트모더니즘과 들뢰즈 이후 가장 중요한 철학적 저서. 충실성, 백과사전적 지식 대 사건적 진리, 진리의 네 영역으로서의 사랑·예술·정치·과학, 촉성, 사건적 자리 등 이제는 새로운 철학적 개념으로 사유할 때이다.
목차
영어판 서문
독일어판 서문
서론
1부 존재 : 다수와 공백, 플라톤/칸토어
성찰1_ 일자와 다수 : 가능한 모든 존재론의 선험적 조건들
성찰2_ 플라톤
성찰3_ 순수 다수 이론 : 역설들과 임계적 결정
기술적 주 : 표기의 관례
성찰4_ 공백 : 존재의 고유명
성찰5_ 기호Ø
동일자와 타자 : 확장 공리
조건부 조작들 : 멱집합공리, 합집합공리, 분리공리, 치환공리
공백, 존재에의 공제적 봉합
성찰6_ 아리스토텔레스
2부 존재 : 초과, 상황의 상태. 일자/다수, 전체/부분들, 또는 ∈/⊂?
성찰7_ 초과점
속함과 포함
초과점 정리
공백과 초과
일자, 일자로 셈하기. 유일성과 일자로 만들기
성찰8_ 상태 또는 메타구조와 존재의 유형론(정규성, 특이성, 돌출)
성찰9_ 역사적 ․ 사회적 상황의 상태
성찰10_ 스피노자
3부 존재 : 자연과 무한성. 하이데거/갈릴레이
성찰11_ 자연 : 시인가 수학소인가?
성찰12_ 자연적 다수들의 존재론적 기본꼴과 자연의 비존재
정규성이라는 개념 : 추이 집합
자연적 다수들 : 서수들
자연적 다수 또는 서수들 속에서의 현시의 놀이
최후의 자연적 원소(유일한 원자)
서수는 자신이 바로 그것의 이름인 어떤 것의 수이다
자연은 존재하지 않는다
성찰13_ 무한성 : 타자, 규칙, 타자
성찰14_ 존재론적 결정 : ‘자연적 다수들 속에는 무한성이 존재한다’
존재의 점과 통과의 조작자
바로 뒤의 원소로 이어지기와 극한
두 번째 존재적 봉인
마침내 규정된 무한성
유한성, 이차적 장소에 들어선
성찰15_ 헤겔
4부 사건 : 역사와 초일자
성찰16_ 사건의 자리와 역사적 상황들
성찰17_ 사건의 수학소
성찰18_ 존재는 사건을 금한다
역사성과 불안정성에 대한 존재론적 기본 꼴
기초공리
기초공리는 존재론의 메타존재론적 명제이다
자연과 역사
사건은 존재로서의 존재가 아닌 것에 속한다
성찰19_ 말라르메
5부 사건 : 개입과 충실성. 파스칼/선택. 횔덜린/연역
성찰20_ 개입 : 사건의 이름의 불법적 선택, 둘의 논리, 시간적 기초
성찰21_ 파스칼
성찰22_ 개입의 형식 - 다수 : 선택의 존재는 존재하는가?
성찰23_ 충실성, 접속
성찰24_ 존재론적 충실성의 조작자로서의 연역
형식적 연역 개념
가설을 사용한 추론
귀류법
연역적 충실성에 대한 삼중 규정
성찰25_ 횔덜린
6부 양과 지식. 식별 가능한 것(또는 구성 가능한 것) : 라이프니츠/괴델
성찰26_ 양 개념과 존재론의 난국
무한집합들의 양적 비교
다수의 자연적인 양적 상관항 : 기수성과 기수들
무한 가수 문제
상황의 상태가 양적으로 상황 자체보다 크다
칸토어의 정리에 대한 첫 번째 검토 : 무한한 다수들의 척도 또는
알레프 연속
칸토어의 정리에 대한 두 번째 검토 : 초과를 위해서는 어떤 척도?
상황의 상태의 완전한 방황 : 이스턴의 정리
성찰27_ 사유 속의 정향의 존재론적 운명
성찰28_ 구성주의적 사유와 존재에 대한 지식
성찰29_ 존재의 접힘과 언어의 주권성
구성 가능한 집합 개념의 구성
구성 가능성의 가정
절대성
사건의 절대적 비존재
개입의 합법화
초과의 정상화
지식의 절제와 그것의 한계
성찰30_ 라이프니츠
7부 유적인 것 : 식별 불가능한 것과 진리. 사건 -P.J. 코헨
성찰31_ 유적인 것에 대한 사유와 진리 속의 존재
지식 재론
조사
진리와 타당성
유적 절차
유적인 것은 진리의 다수-존재이다
진리들은 존재하는가?
성찰32_ 루소
성찰33_ 식별 불가능한 것의 수학소 : 코헨의 전략
반-완비된 기본 상황
조건들 : 소재와 의미
조건들의 집합의 정확한 부분 집합(또는 부분)
식별 불가능한 또는 유적 부분집합
성찰34_ 식별 불가능한 것의 존재 : 이름들의 힘
비존재의 위험 속에서
존재론적 급반전 : 식별 불가능한 것이 존재한다
이름의 ♀-지시대상과 식별 불가능한 것에 의한 확장
기본 상황은 모든 유적 확장의 부분이며 식별 불가능한 ♀는 모든 유적 확장의 원소이다
유적 확장에 대한 탐구
내재적인 또는 상황 - 내적인 식별 불가능성
8부 촉성 : 진리와 주체, 라캉을 넘어서
성찰35_ 주체의 이론
주체화 : 개입과 충실한 접속의 조작자
모든 진리가 그것으로 짜여지는 우연은 주체의 문제이다
주체와 진리 : 식별 불가능성과 명명
충실한 절차라는 관점에서 보는 타당성과 진리 : 촉성
주체의 생산 : 결정 불가능한 것의 결정, 실격, 비존재자들의 원리
성찰36_ 촉성 : 식별 불가능한 것으로부터 결정 불가능한 것으로
성찰37_ 데카르트/라캉
부록
서수들을 위한 최소성의 원리
관계 또는 함수는 단지 순수 다수일 뿐이다
가수들의 이종성 : 정칙성과 특이성
모든 서수는 구성 가능하다
절대성에 대해
논리학의 원시 기호와 식의 기이로의 재귀
명목 계수 0의 이름들을 위한 등식의 촉성
반-완비된 상황의 모든 유적 확장은 자체가 반-완비되어 있다
유적 확장 내에서의 │p(ω0)│≥δ의 증명의 완성
유적 확장에서 S의기수 δ 없애기
유적 확장에서 기수를 없애기 위한 필수 조건 : S속에 조건들의 비가산적 반연쇄가 존재해야 한다(S에서 이것의 기수성은 ω0보다 크다)
조건들의 반연쇄의 기수성
저자의 주
사전
영어판 옮긴이 서문
옮긴이 서문
용어 대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