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청백리(淸白吏)에 대한 이해
이야기를 시작하며
청백리의 의의와 그 정신
청백리를 권장하게 된 동기
청백리 선정요건과 청백리의 수
청백리의 등용배경
염근리와 청백리 자손의 특전
조선시대의 통치체제의 특성
맺는말
청백리(淸白吏) 50인
01 길재(吉再)
02 황희(黃喜)
03 맹사성(孟思誠)
04 기건(奇虔)
05 유관(柳寬)
06 정갑손(鄭甲孫)
07 구치관(具致寬)
08 박팽년(朴彭年)
09 정척(鄭陟)·성근(誠謹)·매신(梅臣) 삼대(三代)
10 김종직(金宗直)
11 정창손(鄭昌孫)·정형복(鄭享復)
12 이약동(李約東)·이철균(李鐵均)
13 노숙동(盧叔仝)·노진(盧禛)
14 허종(許琮)
15 허침(許琛)
16 성현(成俔)
17 한형윤(韓亨允)
18 조원기(趙元紀)
19 박상(朴祥)
20 김정(金淨)
21 신공제(申公濟)
22 이언적(李彦迪)
23 이현보(李賢輔)
24 안현(安玹)
25 정종영(鄭宗榮)
26 박수량(朴守良)
27 이명(李蓂)
28 홍섬(洪暹)
29 임호신(任虎臣)·임보신(任輔臣)
30 이준경(李浚慶)
31 홍담(洪曇)
32 주세붕(周世鵬)
33 이황(李滉)
34 송흠(宋欽)
35 백인걸(白仁傑)
36 유성룡(柳成龍)
37 이원익(李元翼)
38 이항복(李恒福)
39 장필무(張弼武)
40 이제신(李濟臣)
41 이명준(李命俊)
42 이후백(李後白)
43 오억령(吳億齡)
44 김상헌(金尙憲)
45 김시양(金時讓)
46 이안눌(李安訥)
47 김덕성(金德成)
48 이시백(李時白)
49 이상진(李尙眞)
50 조경(趙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