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 아렌트와 유교의 교육ㆍ철학 사상의 비교연구를 통해 교육이 인간의 참된 성장과 우주적 생명 공동체의 안녕을 위하는 본질을 회복하고, 나아가 범 생태적인 위기에 처한 우리 삶에 새 길을 열어줄 수 있는 생물권 정치학 시대를 열어 나가는 비전들을 제시한다.
목차
머리말
서장 청년 정의운동
제1부 한나 아렌트와 교육 제1장 한나 아렌트의 라헬 반하겐과 한국 사회에서의 졸부의식과 교육적 속물주의 제2장 인간의 조건과 공공성으로의 교육 제3장 한나 아렌트 교육사상에서의 전통과 현대 제4장 한나 아렌트의 탄생성의 교육학과 왕양명의 치량지의 교육사상
제2부 유교 사상의 새 지평과 교육 제1장 성(性)과 가족, 그리고 한국 교육의 미래 제2장 세계화 시대 한국 교육의 무한경쟁주의 극복을 위한 인문학적 성찰 제3장 탈학교 사회와 한국 생물(生物)여성 영성의 교육 제4장 어떻게 행위하고 희락할 수 있는 인간을 기를 수 있을 것인가? 제5장 어떻게 우리의 대동(大同)사회를 이룰 수 있을 것인가?
참고문헌 주석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정치를 옹호함: 정치에 실망한 사람들에게 2021 / 버나드 크릭 지음 ; 이관후 옮김 / 후마니타스
책상 위로 올라간 정치 : 10대가 말하는 유쾌한 정치2013 / 파트리스 파바로 ; 필리프 고다르 지음 ; 김혜영 옮김 ; 조선진 그림 / 우리교육
근대 탈근대 정치의 이해2012 / 백창재 ...[등] 엮음 / 인간사랑
근대 탈근대 정치의 이해2012 / 백창재 ...[등] 엮음 / 인간사랑
호모 저스티스 = Homo justice : 불의의 시대에 필요한 정의의 계보학2016 / 김만권 / 여문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