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로미오는 정말 줄리엣을 사랑해서 결혼했을까? 아니면, 단지 로잘린에 대한 복수였을까? 심리학의 눈으로 문학작품을 보면, 그 속에 감춰진 인간 심리의 놀라운 비밀과 마주하게 된다. 임상심리학을 공부한 저자 김태형이 7개의 문학작품 속에서 각 등장인물들이 처한 상황과 그들의 심리가 현대의 우리를 어떻게 비추고 있는지 분석한 심리학 서적이다.
목차
│저자의 글│심리학과 문학은 모두 ‘인간’을 바라본다
우유부단한 남자가 사랑하는 법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
어제는 로잘린, 오늘은 줄리엣
로미오, 순간의 재미를 쫓는 어린아이 같은 성격
로미오가 줄리엣에게 반한 까닭은
원수라서 사랑하다
줄리엣, 침착하고 저돌적인 보안관의 성격
사랑의 탈을 쓴 심리 게임
이기적인 여자가 사랑하는 법
팜므 파탈의 전형, 카르멘
나르시시스트 카르멘
금욕적인 모범생, 돈 호세
수동적인 연애는 위험해
사랑과 질투의 상관관계
그들은 서로를 사랑했을까
사랑, 그 어리석음이라는 속성에 현명하게 대처하기
왜 그녀였는가
자신의 틀에 끼워 맞추는 사랑
참사랑과 현실도피의 차이
이상적인 아버지
허영심, 불신, 솔직하지 못한
현실의 무게를 이겨내는 사랑
가면 쓴 인격, 페르소나 속에 감춰진 은밀한 욕망
하이드에 관한 잘못된 선입견
인생 중간평가의 시기에 위기가 찾아온다
무의식의 귀환
아버지에 대한 반항과 분노
부모에게 복 종하는 삶 또는 반항하는 삶
두려움을 덜어주는 복면 효과
현실도 피로 점철된 인생
우울함이 세상을 지배할 때
가까운 이의 사소한 배신이 주는 큰 충격
햄릿, 심리전을 펼치다
햄릿은 우유부단한 인물인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햄릿
치유하지 않은 상처는 확장된다
복수를 위해 죽을 수 없었던 햄릿의 우울
내 것이거나, 아무도 갖지 못하거나
도피 vs. 도전
결핍감과 눈 먼 사랑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
동물재판
무슨 사랑이 그럴까!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여행
환상의 세계로
세 명의 친구
부정적인 자아상이 자신감을 잃게 만든다
화내도 괜찮아
가면을 벗고 싶어
다시 현실로 돌아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