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약어 목록
그림 및 표 목록
서론
제1장 국제안보연구를 정의하기
ISS를 구조화하는 네 가지 질문
안보와 그 인접 개념들
ISS의 영역 경계
서구중심주의의 문제
제2장 국제안보연구의 주요 문제: 국가, 정치, 그리고 인식론
중세국가에서 주권국가로
프랑스 혁명과 국내적 응집
ISS에서의 정치의 개념화
인식론과 안보논쟁
안보개념의 지도
제3장 국제안보연구 진화의 원동력
쿤 이후의 과학사회학
내부적 요인 대 외부적 요인
원동력의 틀의 이론적 지위
일반적 분석 범주로서의 다섯 가지 원동력
제4장 전략연구, 억지, 냉전
강대국 정치: 냉전과 양극체제
기술의 영향: 군사 영역의 핵 혁명
현안과 '사건'의 압력
학술 논쟁의 내부적 동학
제도화
결론
제5장 국가안보에 대한 냉전의 도전
평화연구와 군비통제
적극적 평화, 통합, 사회적 응집
구조적 폭력, 경제, 환경
평화연구 논쟁의 내부 동학
평화에서 안보로: 공동안보, 페미니즘, 탈구조주의
제도화
결론
제6장 탈냉전기의 국제안보연구 : 전통주의자들
메타 사건의 상실: 소련 이후의 살아남기
내부적 학술 논쟁: 국가 중심주의와 인식론
강대국 정치: 소련을 대체하는 것은?
기술의 영향
지역 안보와 비서구 사건들
제도화
결론
제7장 안보의 확대화 심화
구성주의: 규범, 정체성, 서사
(서구) 국가를 넘어서
담론적 안보: 코펜하겐 학파와 탈구조주의
제도화
결론
제8장 9·11에 대한 대응: 국가안보로의 복귀?
9·11 이후 전통적 ISS
확대론적 시각과 테러와의 전쟁
제도화와 테러와의 전쟁
결론
제9장 결론
ISS의 변화하는 지형
원동력에 대한 재고
ISS의 현 상태와 미래: 대화 혹은 개별 진영들?
ISS를 위한 전망
역자 후기
참고문헌
색인
저자 색인
주제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