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총설
1. 원불교, 깨달음 어떻게 보는가?
2. 성리와 깨달음의 연구방법론
깨달음의 체험
1. 깨달음의 본질론
1) 깨달음의 본질
2) 깨달음의 가치
3) 깨달음과 지식
2. 깨달음과 경전
1) 성자의 출현과 깨달음
2) 깨달음과 나
3) 깨달음과 경전
3. 깨달음의 장애
1) 중생과 부처의 간극
2) 무명과 깨달음
3) 깨달음의 장애
4. 종교와 깨달음
1) 깨달음과 종교
2) 깨달음과 동서종교
3) 인도철학의 깨달음
4) 불교의 깨달음
5) 도교의 깨달음
6) 유교의 깨달음
7) 한국종교의 깨달음
원불교와 깨달음
1. 깨달음과 일원상
1) 일원상과 깨달음
2) 게송과 깨달음
3) 의두ㆍ성리와 깨달음
2. 깨달음과 원불교
1) 깨달음의 교판적 접근
2) 원불교의 깨달음
3) 깨달음과 마음공부
3. 깨달음의 공유
1) 깨달음의 공유
2) 누구나 깨달을 수 있는가?
3) 돈오점수와 깨달음
4. 깨달음의 계기와 체험
1) 깨달음의 계기
2) 깨달음의 방법
3) 깨달음의 단계
4) 깨달음의 체험
5) 깨달음의 결과
5. 21세기와 깨달음
1) 깨달음과 성직자
2) 깨달음의 사회적 기여
3) 깨달음의 해석학
4) 깨달음과 21세기
궁극적 실재와 법신불
1. 종교의 본질과 성리
1) 종교의 본질과 궁극적 실재
2) 성리와 궁극적 실재
2. 궁극적 실재와 법신불
1) 궁극적 실재의 의미와 절대자
2) 궁극적 실재와 법신불 일원상
3. 궁극적 실재의 존재와 인식
1) 궁극적 실재의 존재론적 접근
2) 궁극적 실재의 인식방법론
4. 자아체험과 궁극적 실재
1) 궁극적 실재와 자아발견
2) 궁극적 실재와 종교체험
3) 궁극적 실재의 본질과 절대무
5. 궁극적 실재의 탐구와 응답
1) 궁극적 실재의 탐구영역
2) 궁극적 실재에 응답하는 종교
원불교의 문목과 성리
1. 의두 성리가 강조되는 이유
2. 『수양연구요론』의 문목 등장
3. 문목 개념의 변천
4. 문목 항목의 변천
5. 문목의 의의 및 과제
6. 의두와 성리로의 변신
원불교 성리의 본질
1. 봉래주석과 성리형성
1) 봉래정사 주석기와 성리
2) 성리의 형성과 변천과정
2. 성리의 본질과 일원상
1) 성리의 본질
2) 성리와 일원상
3. 정전과 대종경의 성리
1) 정기훈련 11과목과 의두 성리
2) 대종경의 성리품
4. 원불교 성리와 전통사상
1) 성리와 유교 성리학
2) 성리와 불교화두
3) 원불교 성리의 특징
5. 성리의 적공과 방법
1) 성리와 적공
2) 성리와 깨달음
3) 성리연마의 방법
6. 정법교리와 성리의 난제
1) 정법교리와 성리
2) 성리의 난제(難題)
3) 평상심과 성리
7. 성리 해석학과 교단 100년
1) 성리 해석학
2) 자신성업봉찬과 교단 10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