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부 다문화사회와 이주민의 정체성
초국적 장과 초국적 정체성: 한국의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 심영희
1. 서론
2. 개념 정의
3. 연구방법 및 자료
4. 초국적 사횢거 장의 경험
5. 초국적 정체성의 발현
6. 요약 및 결론
초국가적 시민주체: 귀환한 해외 입양인들의 탈경계적 정체성 / 이소희
1. 백인사회에서 성장하는 해외 입양인
2. 한국사회로 귀환한 해외 입양인
3. 초국가적 시민주체로서의 가능성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국제비교연구: 자격요건 평가를 중심으로 / 정기선, 이선미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은 다른 나라 사람들보다 더 종족적이고 배타적인가?
5. 결론
결혼이주 여성의 가정(Home) 만들기: 문화 접경지대 번역자로서의 이주여성 / 김현미
1. 문제제기
2. 문화 접경지대로서의 가정
3. 물리적 장소로서의 집
4. 한국 남성의 부인이 된다는 것의 의미
5. 내 가족은 누구인가?
6. 부부 되기: '친밀성'과 현대적 모성의 꿈
7. 맺음말
제주도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양상 / 염미경
1. 서론
2. 논의의 배경과 연구방법
3. 제주도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생활과 가족관계
4. 결론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식생활 적응요인 및 식행동 연구 / 신원선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내용 및 방법
4. 연구결과 및 고찰
5. 결론
다문화사회와 참여적 미디어 교육: 미디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을 중심으로 / 정의철
1. 들어가는 말
2. 다문화사회와 다문화주의
3. 다문화교육과 미디어
4. 미국의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교육
5. 미국의 다문화역사와 다문화교육의 시사점
6. 미디어를 활용한 참여적 다문화교육과 반편견교육
7. 다문화사회와 참여적 미디어교육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아동의 일상생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도남희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국결과
5. 논의
제2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이주와 트랜스내셔널리즘
국가권력의 형성과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김석범의 「화산도」론 / 김종욱
1. 망각의 역사와 기억의 복원
2. 재일조선인의 귀환과 명령
3. 윤리적 주체의 죽음
4. 김석버머 문학과 「화산도」
김노의 작품에 재현된 재한 중국조선족 여성상 / 홍설화
1. 서언
2. 김노의 작품 속에 나타난 재한 중국조선족 여성의 곤경
3. 재한 중국조선족 여성의 주체성 탐색 과정
4. 결론
식민지 시기 일본 공장으로 간 제주 여성 / 서지영
1. 여공과 식민지 근대
2. 제주 여성들의 도항과 여공으로의 변신
3. 1920-30년대 오사카 기시와다 방적(岸和田紡績) 공장의 조선인 여공들
4. 일본 속 제주 여공들의 목소리 또는 시선
5. 근대초기 제3세계 서발턴, 일본 공장의 조선인 여공
제주해녀-바다를 횡단하는 트랜스내셔널 유목주체 / 장혜련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와 이론적 논의
3. 제주해녀 - 바다를 횡단한 추가물질
4. 제주해녀 - 유목적 주체
5. 나오며
이주여성 기업가: 일본 내 한국인 여성의 기업요인과 자원동원 / 유연숙
1. 들어가는 말
2. 에스닉 비즈니스의 이론적 논의와 본 연구의 시작
3. 조사개요
4. 수도권 지역의 한국계 비즈니스 현황
5. 한국여성의 기업(起業)요인
6. 에스닉 비즈니스를 위한 자원동원
7. 결언
해외입양인 내러티브에 나타난 침묵된 이주와 죽음의 이미지 / 최유진
1. 서론
2. <여행자>: 뿌리 뽐힘과 타국으로의 이주
3. <귀향>: 유령의 출몰과 대물림의 역사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