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교실에서 21세기 학생들을 가르쳐온 20세기 역사교육사. 역사를 왜 알아야 하는지, 어떤 역사를 배워야 하는지에 대한 진지한 논의를 위해 해방 이후 역사교육 70년의 발자취를 살펴본다.
목차
서문 역사교육에 비친 한국현대사의 모습
1부 해방전후부터 1960년대까지 01 황국신민을 기르는 교육 - 국민학교와 국민과 02 해방 이후의 첫 국사 교과서 - 《초등국사》와 중등용 《국사교본》 03 민주시민 육성과 미국식 민주주의 교육 - 새교육운동과 사회과 도입 04 민주적 민족교육에서 과학적 역사인식까지 - 해방 직후 한국사 인식과 국사교육론 05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다’ - 단군사상과 홍익인간의 교육이념 06 이승만 정부의 통치이데올로기로 변한 역사이념 - 일민주의 07 서로 다른 삼한의 위치 - 1950~60년대 중학교 국사 교과서의 학설 문제 08 발전적 관점의 한국사 인식 - 한국사 연구와 국사 교과서의 식민사관 극복
2부 196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09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 - 국민교육헌장과 역사교육 10 초등학교에서 대학교까지 국사를 필수로 - 국사교육 강화와 국사과 독립 11 주체적 민족사관을 명분으로 - 국사 교과서 국정화 12 국난극복사관과 전통윤리 - 박정희 정부의 역사교육관 13 국회에 선 ‘국사되찾기운동’ - 상고사 논쟁과 국사 교과서 14 지배층의 역사에서 민중의 역사로 - 민중사학의 대두와 역사 교과서 비판 15 ‘살아 있는 삶을 위한 역사교육’ - 전국역사교사모임의 역사교육운동 16 ‘항쟁’인가 ‘폭동’인가 - 국사 교과서 준거안 파동
3부 1990년대 중반 이후 현재까지 17 역사와 사회과는 적인가 - 사회과 통합과 국사교육 선택 논란 18 포스트모던 역사학과 민족주의 역사학 - 민족주의 역사학과 역사교육을 둘러싼 논쟁 19 ‘서구 중심’에서 ‘유럽 중심, 중국 부중심’으로 - 유럽 중심의 세계사 교육 비판 20 전쟁과 식민지배를 합리화하는 역사교육 - 일본의 역사왜곡과 한·일 역사분쟁 21 고구려사는 어느 나라 역사인가 -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논란 22 자국사를 넘어서 지역사로 - 동아시아사의 탄생과 역사화해 23 정권이 바뀌면 교과서 내용도 달라져야 하나 -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파동
후기 역사교육 70년의 기록을 남기며 참고문헌 도판출처
서가브라우징
한국의 소년운동1999 / 김정의 지음 / 혜안
초록색 옷을 입은 사람들: 대한민국 국립묘지에 담긴 보훈의 의미 2023 / 지음: 김종성 / 유아이북스
WWW.한국현대사.COM2000 / 김진국 ; 정창현 공저 / 민연
숙명의 하이라루: 육군 특무부대장 김창룡 장군 비망록 2022 / 지음: 김창룡, 엮음: 남정옥 / 청미디어
숙명의 하이라루: 육군 특무부대장 김창룡 장군 비망록 2022 / 지음: 김창룡, 엮음: 남정옥 / 청미디어
피맛골에 내려온 남산의 토끼 : 사진으로 잇는 50년 전과 오늘 2023 / 지음: 김찬휘, 김형진, 정치영 / 사회평론아카데미
피맛골에 내려온 남산의 토끼 : 사진으로 잇는 50년 전과 오늘 2023 / 지음: 김찬휘, 김형진, 정치영 / 사회평론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