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고려속요의 경우 여타의 고시가와 달리 가창자, 가창물, 가창 참석자, 주효와 음악 등 가창공간의 상황을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교열.신성의 과정을 겪은 가창물에 가창공간에 참석한 자들의 취향이 반영돼 있게 마련이다. 이 책에서는 고려속요 중에 '청산별곡', '사모곡', '동동', '유구곡', '쌍화점'을 다루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고려시대의 단오 풍속으로 읽는 「청산별곡」
1. 서론
2. 고려속요 이해의 전제와 단오 풍속
3. 「청산별곡」과 단오
4. 결론
고려시대 기녀와 무당 풍속으로 읽는 「사모곡」
1. 머리말
2. 고려속요 이해의 전제
3. 고려시대 기녀와 무당의 풍속과 「사모곡」
1) 기녀의 풍속
2) 무당의 풍속
3) 「사모곡」 이해의 한 방법
4. 결론
「동동」의 송도와 선어
1. 논의의 출발
2. 『고려사』 악지의 송도, 그리고 변계량과 정극인의 송도
3. 송도와 기녀
4. 「동동」에 대한 평가, 송도와 선어
5. 마무리
「동동」 화자의 심리
1. 서론
2. 고려속요 이해의 전제와 「동동」의 화자
3. 화자의 처지와 방어기제, 그리고 불안한 심리의 원인
4. 「동동」 통석
5. 결론
「유구곡」 해석의 다양성과 가능성 - 가창자·가창물·가창공간의 특성을 고려해서
1. 서론
2. 해석의 다양성
3. 속요 이해의 한 전제들-가창자·가창물·가창공간
4. 해석의 가능성-참석자들의 새에 대한 인식
5. 결론
소통의 즐거움을 위한 장치, 「쌍화점」
1. 해석이 다양한 노래
2. 고려속요 이해의 전제들 -소통의 즐거움을 위한 가창자·가창물·가창공간
1) 가창자
2) 가창물
3) 가창공간
3. 「쌍화점」과 「한림별곡」의 유사점-형식·평가·가창방식
4. 「쌍화점」·「삼장」·「사룡」
5. 「쌍화점」의 해석
* 보론: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를 궁중에서 가창할 수 있었던 이유?
중국 조선족 고중(高中) 신편(新編) 『조선어문』 소재(所載) 고전시가의 양상과 특징 -「청산별곡」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고중 신편 『조선어문』 교과서 소재 시가의 양상
3. 신편 『조선어문』 교과서 소재 고전시가의 특징과 문제점
1) 특징
2) 문제점
4. 결론
제2부
스토리텔링을 통한 속요의 교육방안 모색
1. 머리말
2. 속요의 특성과 속요 스토리텔링
3. 속요 스토리텔링의 한 방법
4. 결론
고등 『문학』 교과서 소재 고전시가를 통한 문학교육 방법의 모색 -스토리텔링의 방법에 기대
1. 머리말
2. 에듀테인먼트와 스토리텔링
3. 18종 『문학』 교과서의 고전시가와 스토리텔링의 한 방법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