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난 10여 년 동안 진행되어 온 안티조선 운동의 역사를 담았다. 더불어 안티조선 운동을 재평가했다. 이를 위해 안티조선 운동의 태동과 전개, 절정의 과정은 물론이고 안티조선 운동 이전의 언론사와 언론 운동사를 살폈다. 안티조선 운동의 참여자이기도 한 저자 한윤형은 과감히 안티조선 운동이 ‘실패’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는 “실패했던 그 지점에서 새로움 꿈을 꿀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한다.
목차
추천사
막힌 곳을 뚫었던 전면적인 거부 운동 / 백병규
진보의 스펙트럼 / 이명원
성공을 위한 새로운 출정 선언 / 이상길
연표
안티조선 프로조선 대립 구도
여는 글 잊혀진 전장으로의 초대
1920-1998 1부 맥락을 모르는 이들을 위한 예비 학습
1장 심하게 간추려 쓴 한국 언론사
일제 강점기 (1920~1945)
미군정 시기 (1945~1948)
이승만 정권 시기 (1948~1960)
장면 정권 시기 (1960~1961)
박정희 정권 시기 전기 (1961~1967)
박정희 정권 시기 후기 (1968~1979)
전두환 정권 시기 (1980~1987)
노태우 정권 시기 (1988~1992)
김영삼 정권 시기 (1993~1997)
2장 좀 덜 심하게 간추려 쓴 한국 언론 운동사
언론자유수호선언
자유언론실천선언과 《동아일보》광고 탄압 사건
조선투위와 동아투위의 탄생
민언협의 창립과 보도 지침 폭로 사건
KBS 시청료 거부 운동
방송 민주화 운동의 성과와 좌절
《미디어오늘》, 민언련, 언개련의 탄생
1995~1999 2부 안티조선 운동의 탄생
3장 광야에서 《조선일보》를 외친 강준만
4장 강준만의 고독한 싸움과 '최창집 사건'의 발발
5장 이한우는 최장집의 등에 칼침을 꽂지 않았다
6장 서풍의 광시곡 : 좌파들의 합류와 '안티조선 우리모두'의 성립
잊혀진 이야기 1 : 강준만은 지식인을 혐오했는가?
잊혀진 이야기 2 : 《조선일보》문제와 '극우 헤게모니론'
잊혀진 이야기 3 : 일상적 파시즘과 부드러운 파시즘
잊혀진 이야기 4 : 게이트 오브 우리모두(Gate of urimodu)
2000~2001 3부 안티조선 운동의 성장
7장 총선시민연대의 좌절과《조선일보》반대 지식인 선언
8장 한총련의 귀환 : 그리고 아무 일도 없었다?
9장 홍위병론의 방패에 막힌 세무 조사의 화살
10장 옥천 전투의 성공과 운동의 대중화
잊혀진 이야기 5 : 문학 권력 논쟁
잊혀진 이야기 6 : 진중권의 넷 우익 정벌기
잊혀진 이야기 7 : 프로조선 논객 열전 - 권정도 편
잊혀진 이야기 8 : 청년진보당, '《조선일보》화형식'을 거행하다
2002 4부 혼란에 빠진 안티조선 운동
11장 좌익 축출 : 사실, 새는 한쪽 날개만으로도 잘 난다
12장 '안티조선 도우미' 노무현의 부상
13장 유시민의 책략, 안티조선을 삼키다
14장 2002년 대선 보도의 '언론 전쟁'
잊혀진 이야기 9 : 좌파와 안티조선 운동의 관계는?
잊혀진 이야기10 : 사이버 민중주의, 노무현을 만나다
잊혀진 이야기11 :《조선일보》vs 안티조선, 법정 공방의 후일담
안티조선 운동, 그 현장
2003~2007 5부 관성에 젖은 안티조선 운동
15장 노란 풍선 휘날리며 : 참여정부와 그 외 모든 것들의 전쟁
생존을 말하는 이들과의 전쟁
진보 진영과의 끝없는 싸움
치정극과도 같았던 민주당과의 싸움
16장 조중동의 역습 : 참여정부는 이제 불타고 있는가?
국방 및 외교 정책
4대 개혁 입법 문제
행정수도 문제와 부동산 문제
'경제 파탄' 논쟁의 진실
17장 언론 환경의 변화와 언론 운동의 지체
잊혀진 이야기12 : 유시민과 개혁당의 문제
잊혀진 이야기13 :《경향신문》, 참여정부를 공격하며 정체성을 확립하다
잊혀진 이야기14 : 안티조선 논객 열전 - 변희재 편
2008~2010 6부 안티조선, 그 후
18장 촛불 시위와 노무현의 죽음, 그리고 언론 운동
19장 이명박 시대의 언론 환경과 언론 운동
잊혀진 이야기15 : 홍위병 vs 친위대
닫는 글 다시 언론 운동을 꿈꾸며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