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지난 10여 년 동안 진행되어 온 안티조선 운동의 역사를 담았다. 더불어 안티조선 운동을 재평가했다. 이를 위해 안티조선 운동의 태동과 전개, 절정의 과정은 물론이고 안티조선 운동 이전의 언론사와 언론 운동사를 살폈다. 안티조선 운동의 참여자이기도 한 저자 한윤형은 과감히 안티조선 운동이 ‘실패’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는 “실패했던 그 지점에서 새로움 꿈을 꿀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추천사
막힌 곳을 뚫었던 전면적인 거부 운동 / 백병규
진보의 스펙트럼 / 이명원
성공을 위한 새로운 출정 선언 / 이상길

연표
안티조선 프로조선 대립 구도

여는 글 잊혀진 전장으로의 초대

1920-1998 1부 맥락을 모르는 이들을 위한 예비 학습
1장 심하게 간추려 쓴 한국 언론사
일제 강점기 (1920~1945)
미군정 시기 (1945~1948)
이승만 정권 시기 (1948~1960)
장면 정권 시기 (1960~1961)
박정희 정권 시기 전기 (1961~1967)
박정희 정권 시기 후기 (1968~1979)
전두환 정권 시기 (1980~1987)
노태우 정권 시기 (1988~1992)
김영삼 정권 시기 (1993~1997)
2장 좀 덜 심하게 간추려 쓴 한국 언론 운동사
언론자유수호선언
자유언론실천선언과 《동아일보》광고 탄압 사건
조선투위와 동아투위의 탄생
민언협의 창립과 보도 지침 폭로 사건
KBS 시청료 거부 운동
방송 민주화 운동의 성과와 좌절
《미디어오늘》, 민언련, 언개련의 탄생

1995~1999 2부 안티조선 운동의 탄생
3장 광야에서 《조선일보》를 외친 강준만
4장 강준만의 고독한 싸움과 '최창집 사건'의 발발
5장 이한우는 최장집의 등에 칼침을 꽂지 않았다
6장 서풍의 광시곡 : 좌파들의 합류와 '안티조선 우리모두'의 성립
잊혀진 이야기 1 : 강준만은 지식인을 혐오했는가?
잊혀진 이야기 2 : 《조선일보》문제와 '극우 헤게모니론'
잊혀진 이야기 3 : 일상적 파시즘과 부드러운 파시즘
잊혀진 이야기 4 : 게이트 오브 우리모두(Gate of urimodu)

2000~2001 3부 안티조선 운동의 성장
7장 총선시민연대의 좌절과《조선일보》반대 지식인 선언
8장 한총련의 귀환 : 그리고 아무 일도 없었다?
9장 홍위병론의 방패에 막힌 세무 조사의 화살
10장 옥천 전투의 성공과 운동의 대중화
잊혀진 이야기 5 : 문학 권력 논쟁
잊혀진 이야기 6 : 진중권의 넷 우익 정벌기
잊혀진 이야기 7 : 프로조선 논객 열전 - 권정도 편
잊혀진 이야기 8 : 청년진보당, '《조선일보》화형식'을 거행하다

2002 4부 혼란에 빠진 안티조선 운동
11장 좌익 축출 : 사실, 새는 한쪽 날개만으로도 잘 난다
12장 '안티조선 도우미' 노무현의 부상
13장 유시민의 책략, 안티조선을 삼키다
14장 2002년 대선 보도의 '언론 전쟁'
잊혀진 이야기 9 : 좌파와 안티조선 운동의 관계는?
잊혀진 이야기10 : 사이버 민중주의, 노무현을 만나다
잊혀진 이야기11 :《조선일보》vs 안티조선, 법정 공방의 후일담

안티조선 운동, 그 현장

2003~2007 5부 관성에 젖은 안티조선 운동
15장 노란 풍선 휘날리며 : 참여정부와 그 외 모든 것들의 전쟁
생존을 말하는 이들과의 전쟁
진보 진영과의 끝없는 싸움
치정극과도 같았던 민주당과의 싸움
16장 조중동의 역습 : 참여정부는 이제 불타고 있는가?
국방 및 외교 정책
4대 개혁 입법 문제
행정수도 문제와 부동산 문제
'경제 파탄' 논쟁의 진실
17장 언론 환경의 변화와 언론 운동의 지체
잊혀진 이야기12 : 유시민과 개혁당의 문제
잊혀진 이야기13 :《경향신문》, 참여정부를 공격하며 정체성을 확립하다
잊혀진 이야기14 : 안티조선 논객 열전 - 변희재 편

2008~2010 6부 안티조선, 그 후
18장 촛불 시위와 노무현의 죽음, 그리고 언론 운동
19장 이명박 시대의 언론 환경과 언론 운동
잊혀진 이야기15 : 홍위병 vs 친위대

닫는 글 다시 언론 운동을 꿈꾸며

참고 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조선·동아일보의 탄생 : 언론에서 기업으로 조선·동아일보의 탄생 : 언론에서 기업으로 2021 / 지음: 장신 / 역사비평사
조선·동아일보의 탄생 : 언론에서 기업으로 조선·동아일보의 탄생 : 언론에서 기업으로 2021 / 지음: 장신 / 역사비평사
신문 그 이상의 미디어 조선일보 : 간추린 조선일보 90년사 신문 그 이상의 미디어 조선일보 : 간추린 조선일보 90년사 2010 / 조선일보 90년 시사 편찬실 지음 / 조선일보사
민족과 함께 한 세기 : 간추린 조선일보 100년사 : 1920-2020 민족과 함께 한 세기 : 간추린 조선일보 100년사 : 1920-2020 2020 / [편]: 조선일보100년사편찬실 ; 사진: 조선영상비전 멀티미디어영상부 / 조선일보사
독립신문 연구 독립신문 연구 2006 / 채백 지음 / 한나래
민족지의 신화  민족지의 신화 2022 / 지음: 채백 / Culture Look(컬쳐룩)
한국언론과 명예훼손소송 한국언론과 명예훼손소송 2002 / 김재협 외저 / 나남출판
안티조선 운동사 : 대한민국 현대사를 관통하는 또 하나의 역사 : Chosunilbo 1920∼2010 안티조선 운동사 : 대한민국 현대사를 관통하는 또 하나의 역사 : Chosunilbo 1920∼2010 2011 / 한윤형 지음 / 텍스트
부산언론사 연구 부산언론사 연구 2012 / 채백 지음 / 산지니
부산언론사 연구 부산언론사 연구 2012 / 채백 지음 / 산지니
중국근대언론발달사  : 1815~1945 중국근대언론발달사 : 1815~1945 2009 / 차배근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부
암살이라는 스캔들 암살이라는 스캔들 2011 / 나이토 치즈코 지음 ; 고영란, 김경원, 손지연 옮김 / 역사비평사
암살이라는 스캔들 암살이라는 스캔들 2011 / 나이토 치즈코 지음 ; 고영란, 김경원, 손지연 옮김 / 역사비평사
일본잡지 모던 일본과 조선 1939 : 완역〈모던일본〉조선판 1939년 일본잡지 모던 일본과 조선 1939 : 완역〈모던일본〉조선판 1939년 2007 / 모던일본사 지음 ; 윤소영, 홍선영, 김희정, 박미경 옮김 / 어문학사
일본 대중지의 원류  : 메이지기 소신문 연구  = Origin of popular newspapers in Japan : the study of Koshinbun in Meiji period 일본 대중지의 원류 : 메이지기 소신문 연구 = Origin of popular newspapers in Japan : the study of Koshinbun in Meiji period 2013 / 쓰치야 레이코 지음 ; 권정희 옮김 / 소명출판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폭력의 자유  : 해직기자 김종철의 젊은이를 위한 한국 현대언론사 폭력의 자유 : 해직기자 김종철의 젊은이를 위한 한국 현대언론사 2013 / 지은이: 김종철 / 참언론 시사IN북
부자신문 가난한 독자 부자신문 가난한 독자 2002 / 손석춘 지음 / 한겨레신문사
중립에 기어를 넣고는 달릴 수 없다 : 진보언론연구 중립에 기어를 넣고는 달릴 수 없다 : 진보언론연구 2017 / 이봉수 지음 / 이음
중국의 언론과 사회변동 중국의 언론과 사회변동 2000 / 박용수 저 / 나남
한국언론과 명예훼손소송 한국언론과 명예훼손소송 2002 / 김재협 외저 / 나남출판
한국언론사 한국언론사 2002 / 김민환 저 / 나남출판
민족일보 연구 민족일보 연구 2006 / 김민환 지음 / 나남출판
신문 신문 2003 / 채백 글.사진 / 대원사
지방신문 해법 지방신문 해법 2003 / 배병화 지음 / 21세기북스
독립신문 연구 독립신문 연구 2006 / 채백 지음 / 한나래
민족과 더불어 80년 민족과 더불어 80년 2000 / 동아일보80년사편찬위원회 지음 / 동아일보사
한국언론 바로보기 한국언론 바로보기 2000 / 송건호 외저 / 다섯수레
언론전쟁 언론전쟁 2003 / 김종찬 지음 / 새로운 사람들
조선시대의 언론문화 조선시대의 언론문화 2000 / 김세철 ; 김영재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일본 매스 커뮤니케이션사 일본 매스 커뮤니케이션사 2000 / 야마모토 후미오(山本文雄) 외 지음 ; 김재홍 옮김 / 커뮤니케이션북스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