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인들이 존경하고 사랑하는 천체물리학자 위베르 리브스의 은하수 이야기. 대중이 잘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우주를 설명한다고 정평이 나 있는 그가 다시 한 번 우리 곁으로 다가왔다. 쿼크와 미립자에서부터 블랙홀과 평행우주까지 종횡무진 펼쳐진다.
목차
서문
Ⅰ. 우주 01 우주여행 02 우주는 무한한가? 03 폐쇄공포증 환자, 광장공포증 환자? 04 시간 거슬러 올라가기 05 팽창하는 우주 06 빅뱅: 우주 폭발? 07 우주 수평선 08 빛(우주 배경복사)의 화석: 우주 생성기의 생생한 모습 09 수소의 탄생 10 은하수들의 씨앗 11 태초에는 열이 있었다. 그렇다면 그 이전에는? 12 그 전에 양자 에너지가 있었다면, 그 이전에는? 13 우주의 곡률 14 거울 우주 15 보이는 것은 우주물질 5%뿐 16 암흑물질은 어떻게 발견되었을까? 17 암흑물질의 존재에 대한 비판적 시각 18 암흑에너지의 발견 19 암흑에너지에 대한 비판적 시각 20 암흑에너지의 성질 21 양자 에너지의 수수께끼 22 우주의 최고 온도는 몇 도였을까? 23 우주의 미래: 뜨거운 우주 아니면 차가운 우주? 24 평행우주들? 25 인류 원리
Ⅱ. 별과 은하 26 은하단 27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 28 항성 블랙홀 29 은하 블랙홀 30 우리 은하수 블랙홀은 다이어트 중 31 감마선 폭발 32 우주광선(Cosmic ray) 33 항성들의 진동 34 죽은 항성 35 펄사(맥동성) 36 태양계 외 행성들
Ⅲ. 역사 37 아인슈타인의 해 38 시간-공간 39 E=mc2 40 빛의 속도 41 우주에 대한 이론의 가능성 42 피사의 사탑 43 1919년의 일식 44 실재(현실)는 생각만큼 복잡하지도 단순하지도 않다 45 “알버트, 신에게 이래라저래라 지시하는 것을 그만두세요!” 46 아인슈타인과 우주론 47 디락(Dirac) 방정식 48 반물질의 존재 가능성 49 반물질의 발견 50 반물질은 어디로 갔나? 51 지식의 도구로서 반물질
Ⅳ. 원자 52 원자 53 양자와 쿼크 54 전자 55 광자와 빛 56 중성미립자: 볼프강 파울리의 직관 57 태양으로부터 날아오는 중성미립자들 58 중성미립자의 천문학 59 중력 60 전자기력 61 강한 핵력 62 약한 핵력 63 네 가지 힘의 통합 64 막스 플랑크와 물리학의 단위들 65 시간, 길이, 질량, 온도의 우주적인 척도 66 플랑크의 벽: 물리학과 우주론 사이의 경계선
서가브라우징
빅뱅의 질문들: 우주의 탄생과 진화에 관한 궁극의 물음 152022 / 지음: 토니 로스먼; 옮김: 이강환 / 한겨례출판
코스모스 인포그래픽스 : 우주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지식2018 / 지은이: 스튜어트 로, 크리스 노스 ; 옮긴이: 김부민 / 푸른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