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신종 우울증, 질병인가 게으름인가
PART 1 우울증의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chapter 1 현대사회와 우울증
우울증이 변화한다
새로운 유형의 우울증
과거의 우울증과 무엇이 다른가
신종 우울증, 이렇게 생각한다
심리학 열풍과 우울증
가볍지만 낫지 않는다
조작에 대한 욕망이 커지다
마음의 시각화
맥도날드처럼 바뀌는 사회
대인자극과 기분상태
우울증과 커뮤니케이션
사회적 우울증이란 무엇인가
chapter 2 신종 우울증,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기존의 우울증 치료법
환경 조정으로 우울증을 개선하다
증상이 가벼울수록 환경의 영향은 크다
관계가 범인이다
마음의 힘
chapter 3 마음의 힘과 회복탄력성
‘마음의 힘’ 이론 모델
플라시보 효과도 회복탄력성일까
사회적, 심리적 요인이 회복탄력성을 높인다
대인관계와 활동이 갖는 의미
chapter 4 관계치료
자기애가 약한 사람은 쉽게 우울해진다
코헛의 발달이론
자기대상
야심과 이상
세 종류의 자기대상
동반적 자기대상이 중요한 이유
적당한 욕구불만
높은 자존심과 낮은 자신감
우울증 임상에서 대인관계의 의미
은둔형 외톨이 시스템
고독이 문제가 되는 이유
인터넷에 대인관계가 있는가
자기애 시스템
개인은 어떻게 자기애 시스템을 지탱하는가
사회관계자본은 어떻게 유지되는가
PART 2 신종 우울증, 어떻게 치료할까
chapter 5 가족은 유일한 대인관계다 : 가정에서의 대응방법
환경 조정하기
안심과 공감으로 신뢰 구축하기
치료에 개입하기
커뮤니케이션은 어떻게 해야 할까
대화의 시작, 공감하기
경청하기
‘아이 메시지’로 말하기
관계적 메시지를 전하기
성실하고 투명한 태도로 대하기
함께 식사하기
적절한 화제 선택하기
원망하는 표현에 대처하기
규칙이라는 제3자를 도입하기
통원치료 권하기
부부 중 한 사람이 우울증에 걸렸을 때
chapter 6 우울증에는 활동이 약이다 : 직장에서의 대응방법
이상 징후 알아차리기
사정 파악하기
산업의의 역할
휴직은 최소 한 달 이상
복직할 때 고려할 점
지원자를 지원하기
재정비 프로그램 활용하기
일이 약이다
우선 활동을 시작하기
노동을 통한 사회 참여와 자기애 시스템
chapter 7 신종 우울증처럼 보이는 정신장애
순환성 기분장애
경계성 인격장애
발달장애
chapter 8 자기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까
자기계발의 문제점
관계치료 활용하기
치료에 변화를 일으키는 세 가지 방법
음악요법
신체성의 회복
인지운동요법
관계치료의 유래
|맺음말|관계치료에서는 사람이 약藥이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