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우리가 사는 한 세기 내내 영향력을 미칠 혁명가적 사상가 마르크스, 니체, 프로이트 3인의 삶과 생각을 살펴본다. 이번 개정증보판의 특징은 짧지만 핵심적인 저자 강영계 교수의 비판적 고찰이다. 정년 퇴임후, 박사과정 강의와 일반인을 상대로 강의를 진행하며 도출되었던 질문들에 대한 대답이라고도 할 수 있는 고찰은 양 보다는 질적인 면에서 돋보인다.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1 예수 이후 세계사에 가장 큰 영향을 발휘한 인물 마르크스
1장 마르크스의 청춘기록, 나는 철학자 이전에 시인이었다
아버지는 유대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변호사
그리스신화와 셰익스피어 작품에 빠져들다
철학자가 될 것인가, 시인이 될 것인가 고민하던 대학시절
마르크스, 브루노 바우어가 이끄는 청년헤겔학파의 '박사클럽'
2장 파리, 브뤼셀, 런던으로 이어지는 망명생활, 혁명의 열정은 계속된다
에피쿠로스에게서 ‘원자론’ 철학과 ‘휴머니즘’을 배우다
〈박사클럽〉과 결별, 전면적으로 헤겔 비판
〈라인신문〉 폐간, 파리로 망명해 〈공산주의 공동체〉에서 생활
문제는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 《포이어바흐 테제》
혁명은 역사의 기관차다
런던에서의 망명생활, 지독한 가난ㆍ불행과 맞서다
납처럼 죽어가는 아기를 붙들고 통곡하는 마르크스
죽을 때까지 마르크스의 친구이자 동반자로 남았던 엥겔스
3장 과학적인 정치경제학으로 자본주의 경제를 비판, 부르주아 경제사상을 뛰어넘어라
마르크스의 역사적 유물론, 자본주의 경제를 비판하는 밑거름
부르주아지 경제학 비판
‘노동’은 가치의 원천이자 상품
4장 마르크스의 사회주의를 중심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사상과 행동
그리스 철학을 바탕으로 공산주의 방향을 잡다
‘국제노동자연맹’의 일원이었던 마르크스
“나는 당신의 학생”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극찬한 바쿠닌
사유재산이 없는 사회주의를 꿈꾸었던 마르크스
5장 마르크스의 삶과 철학,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는가
말년의 마르크스,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마르크스 사상에 대한 현대적 입장들
마르크스가 우리에게 남긴 것
6장 마르크스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주의 혁명을 완성한 레닌
마르크스는 ‘열린사회의 적’, 유물변증법사관의 한계
마르크스 사상의 핵심을 갈파하라 -《국민경제학과 철학》《파리 수고》《독일 이데올로기》《공산당 선언》 등을 중심으로
마르크스를 철학자이자 역사학자ㆍ국민경제학자ㆍ정치가로 부각시킨 마르크스의 획기적 저서《국민경제학과 철학》
《파리 수고》에서 노동과정에서의 소외개념을 집중 연구
이데올로기를 ‘허위의식’으로 보았던 《독일 이데올로기》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공동 집필한 《공산당 선언》
2 “신은 죽었다” 외치며 창조적 ‘힘에의 의지’ 철학을 펼친 ‘초인’ 니체
1장 시와 음악에 뛰어난 니체, 25세에 대학교수가 되다!
초인 ‘위버멘쉬’를 부르짖은 니체는 엘리트주의자
음악과 시에 뛰어난 니체
25세에 바젤대학 객원교수가 되다
2장 쇼펜하우어와 바그너의 영향
니체의 천재성에 날개를 달아준 ‘쇼펜하우어 철학’
바그너의 쇼펜하우어 예찬으로, 그의 철학에 몰두
‘삶에서의 의지’와 ‘힘에의 의지’
3장 바그너와의 결별, 니체가 사랑한 여인들
바그너와 코지마, 그리고 니체
니체와 여인들
바그너와의 결별
4장 미쳐버린 니체, 영원한 초인적 사상가
어머니와 누이동생의 그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초인을 가르치다
마지막 집필에 전력질주
‘힘에의 의지를 긍정하고 사랑한 초인적 사상가 ‘니체’
5장 니체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전통 형이상학의 해체와 ‘힘에의 의지’를 주장한 니체
종교적 객관주의에 가까운 니체 철학
니체 철학의 핵심을 갈파하라 -《비극의 탄생》《이 사람을 보라》를 중심으로
《비극의 탄생》과 니체의 철학
염세주의, 허무주의 문명을 비판한 《이 사람을 보라》
3 시대를 뛰어넘어 빛을 발하는 정신분석학자 프로이트
1장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이렇게 탄생했다
암울한 현실 속에서 ‘유대인’으로 태어나다
대학교수에의 꿈을 접고 의사의 길을 가다
스승 샤르코보다 혁명적인 ‘히스테리’에 대한 연구
브로이어를 빼놓고 ‘히스테리’를 논하지 말라!
브로이어와 결별, 성과 히스테리의 관계를 적극 주장
2장 꿈과 성충동, 노이로제와의 관계를 연구하다
꿈과 ‘노이로제’ 관계를 암호식으로 풀어가는 《꿈의 해석》
유아기 때 체험한 성충동(리비도)이 ‘꿈’으로 나타난다!
부모에 대한 사랑과 증오 등이 성적 콤플렉스를 유발!
변태성욕자를 연구하면서 리비도 이론 전개
환자가 치료자에게 나타내는 ‘전이’에 대하여
노이로제와 성충동 관계에 주목하라!
3장 프로이트의 ‘성충동이론’에 반격을 가한 제자들
비엔나 정신분석학 협회를 창설, 국제적 명성을 드높이다
원시사회의 가족관계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중요성 발견
4장 현대 예술, 종교, 문화에 파문을 일으켰던 위대한 사상가, 프로이트
사랑의 충동과 죽음의 충동
33번의 구강암 수술을 받으면서 연구를 계속하다
죽음의 충동을 삶의 충동으로 승화시킨 위대한 사상가
5장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신분석학은 유물론인가
정신분석한 개념들은 가설에 지나지 않는가
프로이트 사상의 핵심을 갈파하라 -《꿈의 해석》과 《정신분석학 입문 강의》를 중심으로
무의식적인 정신과정을 밝혀낸 《꿈의 해석》
히스테리, 노이로제 등의 연구로 정신질환 치료의 가능성을 입증한 《정신분석학 입문》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