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대한민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현상들에 대한 원인과 처방들에 대한 소회를 엮었다. 고매한 사회과학적 이론과 인식이 기저에 깔려 있지도 않다. 그저 우리네 보통사람들이 느끼는 것을 표현했을 뿐이다. 교직에 몸담고 있는 저자는 학생들과 공감하는 현안들에 대한 평범한 통찰 이상의 것도, 이하의 것도 아닌, 그때그때의 사회적 이슈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1부 한국정치, 어떻게 볼 것인가?
01_인터넷 정치, 민주주의인가 포퓰리즘인가
02_대선의 쟁점과 우리의 관심
03_경선의 제도화와 정치문화
04_물갈이는 제대로 된 공천을 보장할 수 있는가?
05_종교와 정치
06_언제까지 여야는 정쟁의 포로가 될 것인가
07_한나라당은 집권당의 신뢰를 보여 주어야
08_출범 2년 차 정권, 정치의 본령 찾아야
09_국회에서의 이념논쟁과 정책경쟁
10_인사청문회 소회
11_세종시의 정치학
12_총리론
13_세종시, 절충이 최선이다
14_무분별한 창당과 야권분열
15_6·2지방선거의 정치학
16_중앙권력, 입법권력 그리고 지방권력
17_개헌 논의, 대가 아니다
18_북한, 어찌해야 하는가
19_정치인의 오만함
20_'안철수 현상'과 '정치적인 것'의 실종
21_선거와 가치지향
2부 대통령과 소통
01_범여권 대통령 후보 경선의 경우
02_17대 대선의 정치공학
03_이명박 대통령은 비상한 결단으로 국정쇄신에 임하라
04_대통령의 지지율과 좌파 그리고 우파
05_대통령의 죽음
07_대톨령의 서거와 개헌
08_G-20 정상회의와 '소통' 그리고 리더십
09_소통과 카리스마
10_리더십의 위기
11_MB 정권과 소통12_대통령의 블랙홀
3부 세게화와 경제
01_한국과 세계화
02_18대 총선과 세계화
03_베이징 올림픽과 중화주의
04_글로벌 금융위기와 한국정치
05_투자자 국가소송제(ISD)와 정치
06_오바마와 한국
07_금융위기 1년과 사회적 원심력
08_아랍 재스민 혁명
4부 현상으로 본 한국사회의 자화상
01_교포학생의 반사회적 의식과 남겨진 과제
02_한국사회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03_허위학력 파문과 한국사회
04_신정아 파문과 권력
05_숭례문은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나
06_명절과 한국사회
07_인터넷 문화와 정의
08_개천절과 글로벌 다문화시대
09_대중문화와 상업주의
10_한국사회의 위기불감증
11_한국의 미래와 현실 인식
12_한국인의 행복지수
13_한국의 사회적 자본
14_천안함 침몰 원인이 밝혀진 후
15_'공정'과 공동체
16_한국사회의 주류
17_포퓰리즘과 복지
18_졸업식 유감
19_천안함 폭침 1주기와 공직자 재산공개 소회
20_가정의 달과 세대간극
21_공정사회와 전관예우
5부 대학, 어떻게 변해야 하나?
01_대학폭력과 한국사회
02_인문학과 교양학 과목의 중요성
03_대학평가 유감
04_대학의 교육 기능은 연구 못지않게 중요하다
05_대학구조조정의 바람직한 방향
06_대학평가와 한국사회
07_대학 시간강사의 경우
08_등록금 인상과 동결 사이
09_시간강사 처우 개선의 허실
10_대학등록금 1000만 원 시대의 반값등록금
11_대학의 구조조정과 반값등록금
6부 볼론
01_한국 언론과 새로운 방향
02_한국의 보수와 진보
03_민주주의와 다수결 원칙
04_한국사회와 대학의 역할
05_4·19와 5·16
06_민주주의와 자유민주주의
07_종편과 자본의 권력화
08_민주주의의 정착과 제도화
09_성장 신화의 허구
후기